애기미나리아재비
작성일 13-02-01 09:17
조회 721
댓글 13
추천수: 1
본문
Canon EOS 5D, F6.3,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20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880 x 587, 2012:06:28 15:31:58
Canon EOS 5D, F5.0,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40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880 x 587, 2012:06:28 15:44:07
Canon EOS 5D, F6.3,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16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587 x 880, 2012:06:28 15:32:14
Canon EOS 5D, F6.3,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10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880 x 587, 2012:06:28 15:32:29
Canon EOS 5D, F9.0,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40s, 0.00EV, Multi-segment, 100mm, Flash not fired, 880 x 587, 2012:06:28 15:34:15
백두산 선봉령에서 본 애기미나리아재비 입니다.
2회3출복엽의 모양을 보여주고 있었고 전체에 털이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다른 미나리아재비들 보다는 잎의 열편이 좁아보였습니다.
줄기가 벋어 나가는 모양이 보이더군요. 이로보아 줄기가 벋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는걸 예상할수 있겠더군요.
이건 제 도감이나 국생종 기재문에 없는 내용이라 확실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다시한번 자세히 살펴보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2회3출복엽의 모양을 보여주고 있었고 전체에 털이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다른 미나리아재비들 보다는 잎의 열편이 좁아보였습니다.
줄기가 벋어 나가는 모양이 보이더군요. 이로보아 줄기가 벋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는걸 예상할수 있겠더군요.
이건 제 도감이나 국생종 기재문에 없는 내용이라 확실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다시한번 자세히 살펴보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댓글목록 13
바쁜 일정이셨을텐데 꼼꼼하게 잘 담아오셨네요...즐감입니다.
미나리아재비과도 올해 지나고 나면, 거의 정리가 되겠군요!^^ ㅎㅎ
설면과 더불어 자료정리를 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애기미나리아재비에 대한 이우철 도감의 이미지와 좀 달라보여서요.
저도 이 녀석을 어느 식물원에서 담아 놓았는데 기는미나리아재비란 이름이 붙어 있었더래서 긴가 민가 하고 있습니다만
혹시 애기미나리아재비의 2회 3출엽의 근거를 확인 할 수 있는 정보 가 있는지요?
저도 이 녀석을 어느 식물원에서 담아 놓았는데 기는미나리아재비란 이름이 붙어 있었더래서 긴가 민가 하고 있습니다만
혹시 애기미나리아재비의 2회 3출엽의 근거를 확인 할 수 있는 정보 가 있는지요?
ㅎ~ 저도 2회3출엽의 모양에서 헷갈리고 있답니다.
하지만 미나리아재비속에서 개구리미나리를 제외하면 어느것에도 2회3출엽에 대한것은 없어서요.
솔직히 미나리아재비속은 어느것 하나 "이거다." 하고 자신있게 이야기할수가 없는것이 제 형편이랍니다. ㅎ~
여기 몇가지 올린것도 제 자신이 확신은 할수없으면서 가장 근사치의것을 올렸을뿐이랍니다.
앞으로 논의가 이루어져 확실한 정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미나리아재비속에서 개구리미나리를 제외하면 어느것에도 2회3출엽에 대한것은 없어서요.
솔직히 미나리아재비속은 어느것 하나 "이거다." 하고 자신있게 이야기할수가 없는것이 제 형편이랍니다. ㅎ~
여기 몇가지 올린것도 제 자신이 확신은 할수없으면서 가장 근사치의것을 올렸을뿐이랍니다.
앞으로 논의가 이루어져 확실한 정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작년에 보현산에서 담아온 미나리아재비 녀석 하나가 좀 달라 보여서 동정을 미루어 두었다가
이우철 도감의 애기미나리아재비 기재문과 표본 자료 이미지를 보고 애기미나리아재비로 정리해 둔 녀석이 있습니다.
위의 종은 애기미나리아재비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어서요
이우철 도감의 애기미나리아재비 기재문과 표본 자료 이미지를 보고 애기미나리아재비로 정리해 둔 녀석이 있습니다.
위의 종은 애기미나리아재비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어서요
이창복 도감(상권 355p)에 위의 녀석을 기는미나리아재비로 실어 놓았네요
헌데 그 책에 개구리갓과 미나리아재비 이미지는 잘못 올려져 있네요
헌데 그 책에 개구리갓과 미나리아재비 이미지는 잘못 올려져 있네요
(줄기가 벋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는걸 예상할수 있겠더군요.)
이부분이 기는미나리아재비의 특징으로 보아도 될까요?
이부분이 기는미나리아재비의 특징으로 보아도 될까요?
기는미나리아재비는 줄기에 털이 많아보이던데...이 아이들은 털이 거의 보이지 않네요
두분의 논쟁이 뜨거워서 저도 여기저기 찾아보니 기는미나리아재비와 애기미나리아재비의 자료가 몇몇 있는데 공부방에 한번 올려보려고 합니다.
두분의 논쟁이 뜨거워서 저도 여기저기 찾아보니 기는미나리아재비와 애기미나리아재비의 자료가 몇몇 있는데 공부방에 한번 올려보려고 합니다.
기는미나리아재비는 기재문과 사진을 보면 줄기 자체가 포복성을 보이는데 이것은 꽃이 피는줄기는 직립성이더군요.
다만 꽃이피지 않는 새로운 줄기가 따로나와 포복성 비슷하게 줄기를 벋고 있었습니다.
마치 양지꽃속에 몇종처럼 꽃줄기 따로 포복줄기 따로...... 이렇게 나는 모습이었습니다.
저도 처음 이것을 보고 집에와서 기는미나리아재비를 의심하였으나 그렇게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것 같습니다.
다만 꽃이피지 않는 새로운 줄기가 따로나와 포복성 비슷하게 줄기를 벋고 있었습니다.
마치 양지꽃속에 몇종처럼 꽃줄기 따로 포복줄기 따로...... 이렇게 나는 모습이었습니다.
저도 처음 이것을 보고 집에와서 기는미나리아재비를 의심하였으나 그렇게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것 같습니다.
기는미나리아재비에는 옆으로 벋어나는 가지가 있다고 하며 줄기 윗부분에서 긴 꽃대가 나와서 꽃이 핀다고 하니까 그 점으로 이해가 될 듯 싶습니다
털이 없는 점이 애매하긴 한데 이우철 도감을 보면 어린 줄기와 잎자루에 털이 약간 있다고 하니 털이 없을 수도 있다는 점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애기미나리아재비에 기는 줄기가 있다는 내용은 없다는 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미나리아재비 근연종 중에서 기는 줄기가 있는 것이 기는미나리아재비밖에 없다는 점은 무시해서는 안될 점으로 생각이 듭니다
기는미나리아재비의 잎은 완전한 3출엽으로 자루가 길고 소엽에도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다시 2~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애기미나리애재비 근출엽은 장상으로 5열하며 열편이 2~3개로 중열한다는 점도 검토해 봐야할 점으로 보입니다
털이 없는 점이 애매하긴 한데 이우철 도감을 보면 어린 줄기와 잎자루에 털이 약간 있다고 하니 털이 없을 수도 있다는 점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애기미나리아재비에 기는 줄기가 있다는 내용은 없다는 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미나리아재비 근연종 중에서 기는 줄기가 있는 것이 기는미나리아재비밖에 없다는 점은 무시해서는 안될 점으로 생각이 듭니다
기는미나리아재비의 잎은 완전한 3출엽으로 자루가 길고 소엽에도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다시 2~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애기미나리애재비 근출엽은 장상으로 5열하며 열편이 2~3개로 중열한다는 점도 검토해 봐야할 점으로 보입니다
충분히 검토해봐야할만한 가치가 있는 개체라고 생각됩니다. 단 섣부른 결론은 삼가해야 할것 같다는게 제 생각이구요.
기는줄기만 말하자면 제가 한라산 1000습지에서 담은 개체들도 포복성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자리에서 확실히 확인을 몾한 실수를 하기는 했습니다만 기는줄기에서 새로운 개체가 생성되는것같은 모습도 있었습니다.
기는미나리아재비에서 "완전한 3출엽으로 소엽에 잎자루가 있다."...... 제 사진에서 2회 3출엽을 앞의 기재문에 대입하면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2회 3출엽이 아니라 3출엽이고 소엽이 자루가 있어 2회3출엽으로 보인다 라고도 할수 있겠습니다.
암튼 앞으로 이런 의견들이 모아져 결론이 나면 좋겠네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ㅎ~
기는줄기만 말하자면 제가 한라산 1000습지에서 담은 개체들도 포복성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자리에서 확실히 확인을 몾한 실수를 하기는 했습니다만 기는줄기에서 새로운 개체가 생성되는것같은 모습도 있었습니다.
기는미나리아재비에서 "완전한 3출엽으로 소엽에 잎자루가 있다."...... 제 사진에서 2회 3출엽을 앞의 기재문에 대입하면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2회 3출엽이 아니라 3출엽이고 소엽이 자루가 있어 2회3출엽으로 보인다 라고도 할수 있겠습니다.
암튼 앞으로 이런 의견들이 모아져 결론이 나면 좋겠네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ㅎ~
백두표 애기미나리아재비 잘생겼네요,
어리둥절합니다. 잘봐야겠어요.
어리둥절합니다. 잘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