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좀깨잎나무

작성일 12-08-11 19:06 | 1,242 | 12 |추천수: 0

본문

Canon EOS 5D Mark II, F3.2, ISO-320, 1/400s, 0.00EV, Partial, 100mm, Flash not fired, 480 x 720, 2012:08:04 16:59:24

Canon EOS 5D Mark II, F3.2, ISO-320, 1/1250s, 0.00EV, Partial, 100mm, Flash not fired, 480 x 720, 2012:08:04 16:54:55

- 자생지 : 지리산 성삼재 트레킹코스에서 만남

- 쐐기풀과 모시풀속

- 잎 : 마주나기(사각상 난형)
- 잎 가장자리 : 큰 톱니형
- 엽병(잎자루) : 붉은 빛
- 꽃차례 : 수상화서(이삭화서)
- 목질화된 반관목

 ※ 좀깨잎나무, 거북꼬리, 풀거북꼬리 차이점
    1) 좀깨잎나무 : 목질(木質)화된 반관목(半灌木)이고 잎크기가 좀 작은 편이다.
    2) 거북꼬리    : 잎의 끝부분이 3갈래로 깊게 패이고 중앙의 꼬리가 길다.
    3) 풀거북꼬리 : 잎의 끝부분이 조금만 패여있고 꼬리가 길지 않다.

댓글목록 12

빛받은 모습을 멋지게 담으셨네요.
하지만 이게 거북꼬리라면 풀거북꼬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거북꼬리는 잎모양이 거의 둥근모양이고 끝이 세갈래로 갈라지거든요. ㅎ~
답글
감사합니다. ^^* 박다리님,
근데 거북꼬리는 거의 멸종상태라는 설도 있는 것 같은데 맞나요?
다음 기회에는 거북꼬리를 자세히 관찰하겠습니다.
답글
그렇습니다.
야사모에 오면서 부터 해마다 이맘때쯤이면 더욱더 관심 가지고 접근해 보았으나
아직까지 제대로 찾아 볼 수가 없었습니다.
처도 처음엔 꼬리가 길어서 거북꼬리인줄로만 알았었지만 결국 가장 흔히 볼 수가 있는 좀깨잎나무 였지요.

저 개인적인 생각으론 위의 사진역시 ......
답글
앗 ! 뜨거운 감자 중에 하나인 개체가 이 풀꽃인 걸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도랑가재님,
좀 더 공부해 보겠습니다.
답글
가장 쉬운 방법은 밑부분을 보는 겁니다.
좀깨잎나무는 밑부분에 목질의 원줄기가 보일겁니다.  만약 보이지 않을땐 살짝만 걷어보아도 좀깨잎나무는 목질의 원줄기를 볼수 있습니다.
우리 주위에 이런 모습은 거의 좀깨잎나무라는...........ㅎ~
그래서 위 댓글에 "거북꼬리라면......." 이라는 단서를 달아 놓았었습니다.
답글
"모시풀속"이 좀 구별이 만만치가 않은 종(種)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꾸 공부해 가겠습니다.
감사해요.^(^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3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