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장구밤나무

작성일 12-07-22 22:20 | 1,147 | 14 |추천수: 2

본문

NIKON D300, F6.3,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640s, 0.00EV, Spot, 40mm, 1/1, Flash not fired, 900 x 598, 2012:07:22 11:04:11

NIKON D300, F7.1,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1000s, 0.00EV, Spot, 40mm, 1/1, Flash not fired, 900 x 598, 2012:07:22 11:36:03

NIKON D300, F7.1,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1250s, 0.00EV, Spot, 40mm, 1/1, Flash not fired, 531 x 799, 2012:07:22 11:36:06

NIKON D300, F7.1,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1000s, 0.00EV, Spot, 40mm, 1/1, Flash not fired, 900 x 598, 2012:07:22 11:36:42

NIKON D300, F13.0,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40s, 0.00EV, Spot, 40mm, 1/1, Flash not fired, 900 x 598, 2012:07:22 11:37:15

<피나무과>

1 양성화,
2,3은 수꽃,
4,5은 암꽃입니다. 암.수.양성화 딴그루입니다. 이런 종류를 잡성이주(Trioecious)라고 한답니다.

1년전쯤에는 암꽃이 핀 나무만을 보았었는데, 오늘은 암꽃, 수꽃 나무를 모두 찾을 수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장구밥나무로도 불린 적이 있는데, 이제는 "장구밤나무"로 불러 주어야 하겠습니다.
열매 모양이 가운데가 잘록한 것이 장구처럼 생겼습니다.

댓글목록 14

꽃이 좀 다르다 하면서 암꽃인가 수꽃인가 하면서 내려가보니
밑의 친절한 설명문이 있네요.
암꽃,수꽃 비교 버전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답글
쪄서 먹을 만큼 크지는 않고요, 가을에 익은 것을 먹으면 과육이 달달한 모양입니다.
이름은 밤이지만, 열매는 밤하고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제주에는 700m 이상에서 자생한다는, 수도권에서는 주로 바닷가에서 보이지요!!!
1번 사진의 꽃술을 자세히 보면, 노랑색의 보통 수술과 달리 가운데쪽에 연한 색의 뭔가가 있는데, ...
간혹 양성화가 있기도 하다는 얘기들이 있어서, ...
추적 관찰이 필요한 대상입니다!^^
과제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
작년에는  장구밤나무위에서 나비들이
멋진 춤사위를 보여주더니
올해는 한마리도 안보이는게 서운하더라구요~ㅎ
지금까지 제가 찾아 본 것을 종합해보면, ...
1. 암.수 딴그루가 맞다.
2. 꽃은 양성화 처럼 보이지만, 암그루의 수술은 제기능을 못하고(웅성불임), 수그루의 암술 역시 제기능을 하지 못한다(자성불임).
3. 사진에서 보듯이 암그루의 꽃과 수그루의 꽃이 차이가 있다.
답글
다시 정리하면, ...

암.수.양성화 딴그루가 맞다. 이런 나무를 잡성이주(trioecious)라고 한다.
오래전에 정리를 하고도 업데이트를 하지 못했네요.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3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