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민들레
작성일 10-05-14 08:47
조회 449
댓글 6
추천수: 2
본문
U-CA 3 Digital Camera , F5.8,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125s, 0.00EV, Multi-segment, 0/0, Flash not fired, 800 x 600, 2005:12:20 11:55:04
F0.0, /s, 0.00EV, Flash not fired, 800 x 600
DSC-V3, F6.3,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250s, 0.00EV, Multi-segment, 7mm, Flash not fired, 800 x 600, 2009:04:28 14:15:01
DSC-V3, F6.3,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250s, 0.00EV, Multi-segment, 7mm, Flash not fired, 800 x 600, 2009:04:28 14:16:05
F0.0, /s, 0.00EV, Flash not fired, 800 x 600
이곳에다 올려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태공님께서 민들레에 대해 의문이 든다 하셔서-------
우리네, 토종 민들레는 그냥 '민들레'라고 부르는데,
바깥 조각이 꽃잎을 감싸고 있는 점이 서양민들레와 다른 점이고,
그 조각의 끝 부분에 돌기가 나 있는 점이 산민들레와 다른 점입니다.
위에서 두 개의 이미지가 '민들레'입니다.
산민들레도 토종으로 저는 알고 있는데,
바깥 조각은 역시 꽃잎을 감싸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끝에 돌기가 없습니다.
세 번째 사진부터 산민들레입니다.
하수(下手)가 씰데없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태공님께서 민들레에 대해 의문이 든다 하셔서-------
우리네, 토종 민들레는 그냥 '민들레'라고 부르는데,
바깥 조각이 꽃잎을 감싸고 있는 점이 서양민들레와 다른 점이고,
그 조각의 끝 부분에 돌기가 나 있는 점이 산민들레와 다른 점입니다.
위에서 두 개의 이미지가 '민들레'입니다.
산민들레도 토종으로 저는 알고 있는데,
바깥 조각은 역시 꽃잎을 감싸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끝에 돌기가 없습니다.
세 번째 사진부터 산민들레입니다.
하수(下手)가 씰데없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댓글목록 6
우와 감사합니다. 초보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산민들레의 궁금증이 한방에 풀렸습니다.
여직 서양과 토종의 구분은 알고 있었습니다만 민들레와 산민들에의 차이점은 궁금하던 차 였습니다.
여직 서양과 토종의 구분은 알고 있었습니다만 민들레와 산민들에의 차이점은 궁금하던 차 였습니다.
우리네민들레 잘보고 갑니다..***
아름다운 모습
멋집니다.^^
멋집니다.^^
완벽한 설명과 멋진 자료네요.^^
감사합니다....민들레를 무지 좋아하는데 토종과 서양여셕을 구분하지 못하여 늘 아쉬워 했는데 감사합니다..이제 꽃밭침을 봐야 겠습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