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개병풍

작성일 10-02-09 18:10 | 819 | 6 |추천수: 0

본문

NIKON D200, F4.0, ISO-160, Manual WB, Auto Exposure, 1/40s, 0.00EV, Spot, 50mm, 1/1, Flash not fired, 800 x 1195, 2007:08:02 18:51:58

NIKON D200, F4.5, ISO-160, Manual WB, Auto Exposure, 1/80s, 0.00EV, Spot, 70mm, 1/1, Flash not fired, 800 x 1195, 2007:08:02 18:50:57

NIKON D200, F4.5, ISO-200, Manual WB, Auto Exposure, 1/15s, 0.00EV, CenterWeightedAverage, 70mm, 1/1, Flash not fired, 535 x 800, 2007:05:15 18:35:34

CYBERSHOT, F3.5, ISO-100, Manual WB, Auto Exposure, 1/30s, -0.70EV, Multi-segment, 9.7mm, Flash not fired, 1066 x 800, 2003:05:25 15:41:48

개병풍은 범의귀과 개병풍속의 1속1종식물입니다.-오타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병풍쌈은 국화과 박쥐나물속에 해당하는 식물입니다.

둘다 잎이 병풍을 쳐도 될 만큼 큰 특징이 있다합니다.

개병풍은 잎맥이 규칙적으로 2개씩 갈라집니다.
꽃도 범의귀과 특징처럼 5갈래로 갈라집니다.
그리고 못먹고 안먹습니다.

병풍쌈은 박쥐나물속으로 잎맥이 2~3개씩 갈라져서 깔끔하지 못한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줄기를 잎이 감싸고 올라옵니다.
박쥐나물속에 속한다고 보면 비슷할듯~~
그리고 박쥐나무속에 속하듯이 아주 귀하고 맛있는 쌈채라 합니다.

1~3번 개병풍
맨 마지막이 병풍쌈(꽃대만 있어 죄송)

늘 비슷한듯 헷깔렸는데~~~ 이제 다시보면 구별할 듯 합니다.
다시 봐야 알겠지만.....

댓글목록 6

몇해전 어느모임에선가 누가 커다란 잎으로 얼굴을 가리며  개병풍이라고 보여주던 생각이 납니다...
실물을 한번 보고 싶어 집니다....
몇년전 정선에 높은산에서 엄청 큰 잎을 보아 놓고(카메라 없이 일하러 가서)
무엇인지 내내 궁금해 했었는데
짐작하건데 비슷한 종류 이겠군요^^
강원도 어느 집에선가 캐다 심어놓은것을 보고는 야생에서는 몾보았습니다.
분홍과 흰색의 꽃색감이 너무 곱더군요.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81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