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애기장구채

작성일 18-05-03 21:26 | 1,057 | 7 |추천수: 2

본문

Canon EOS 5D Mark II, F5.6,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1600s, 0.00EV, Spot, 23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8:04:26 13:01:46

Canon EOS 5D Mark II, F5.6,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1250s, 0.00EV, Spot, 26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8:04:26 13:02:17

Canon EOS 5D Mark II, F5.6,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1250s, 0.00EV, Spot, 38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8:04:26 13:03:37

Canon EOS 5D Mark II, F5.6,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8:04:26 13:16:56

Canon EOS 5D Mark II, F7.1,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8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8:04:26 13:13:28

어느 산 정상부에서 눈에 들어온 장구채.
"산 정상에 웬 갯장구채가?"........ 라고 생각하며 다가가 보니 웬지 갯장구채와 닮긴 했으나 다르게 보이더라구요?
일단 담아 보고...........
집에와서 보니 이게 애기장구채 이더라구요.
갯장구채는 이 애기장구채의 변종으로 표기되어 있네요.
도감에는 "갯징구채는 근생엽이 넓은타원형-난형이고, 애기장구채는 도피침형이고, 꽃이 애기장구채가 더 작다." 라고
되어있는데, 제가 보기에는 꽃이 작다는건 인정할수밖에 없고, 애기장구채는 근생엽과 경생엽 모두 도피침형이고,
갯장구채는 근생엽은 넓은주걱형-타원형이고, 경생엽은 넓은 주걱형으로, 갯장구채가 더 넓은것으로 보이네요.

댓글목록 7

갯가를 자주 가진 않지만, 변산향유 보러 갈때 주변의 장구채가 갯장구채가 아닐까 했던 모습이네요.
새로운 이름을 또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80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