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개복수초

작성일 17-01-31 17:11 | 1,400 | 17 |추천수: 7

본문

Canon EOS 5D Mark II, F8.0, ISO-4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320s, 0.00EV, Spot, 39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7:01:31 10:35:14

Canon EOS 5D Mark II, F8.0, ISO-4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39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7:01:31 10:35:35

Canon EOS 5D Mark II, F8.0, ISO-4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40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7:01:31 10:37:47

Canon EOS 5D Mark II, F8.0, ISO-4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40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7:01:31 10:38:47

Canon EOS 5D Mark II, F8.0, ISO-4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500s, 0.00EV, Spot, 40mm, Flash not fired, 1100 x 733, 2017:01:31 10:39:44


개가 맞는건지 가지가 맞는건지 도무지.........
대세가 개로 가는것 같으니 나도 개로 올립니다. ㅎ~
벌써 작년에 핀걸 알면서도 이제야........

댓글목록 17

한장 한장 모두 이쁘기만 합니다.
밀려오는 눈을 피해 바위아래로 옹기종기 모여있는 듯한 모습들도 이쁘기만 합니다.^^
그림으로 판단하여 보건대 제 어릴 적 뛰어놀던 동해의 00공원 야산에 있는 임들로 보이는군요
해마다 가서 설중을 담았는데 올해는 너무 멀어 차일피일 미루고만 있었는데 이리 대리만족하여 보드래요
그런데 개복수초에 대한 자료는 아무리 찾아보아도 없고 국생종에서는 가지를 복수초에 통합시켜 놓았던데.....
어느것이 맞는 것이지 저도 헷갈리기만 하는군요
곱게 잘 담아오셨드래요
답글
그러네요? 식물표준목록에는 amurensis. amurensis subsp. pseudoamurensis. multiflora. ramosa. 이렇게 5종으로 바뀌어져있고
도감에는 amurensis. amurensis subsp. multiflora. 이렇게 3종으로 되어 개와 가지를 모두 복수초에 통합시켜 놓았군요.
언제 이렇게 바꿔 놓았는지......... 시찬님 말씀으로 확인해보고야 알았네요.
참으로 헷갈리게하는 국가기관입니다.
식물표준목록과 도감이라도 일치시켜 놓던지.........
답글
생물자원관에는 복수초. 그의 변종으로 갈기복수초. 개복수초. 가지복수초. 세복수초.  이렇게 5종이 있군요.
애기복수초를 종에서 없엔건 저도 타당한 조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var. for. subsp. pseuso......... 이 단어들의 뜻이 다 거기가 거기 아닌가요?
변종이나 품종이나 유사한거나 근사한거나............ ㅎ~
문제는 개와 가지가 모두 한반도에 있는것인지 그게 궁금해 집니다.
답글
저 역시도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계속하여 자료를 찾아보고는 있습니다만
개복수초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쉽게 찾아지지를 않고 있네요.
그래서 개인적으로 육지의 복수초는 걍 복수초라 부르기로 하였답니다
국생종에서도 자라는 환경과 토질에 따라 꽃의 크기나 모양이 다르고 잎의 모양도 조금씩 다르다 설명하고 있더군요
추워진 날씨 건강 조심하시드래요
답글
개복수초(pseudoamurensis) 와 가지복수초(ramosa)에 대한 내용은 2003년에 발표된 논문 "한국산 복수초속의 형태분류학적 재검토(이정희,이상태,이남숙 등)" 와
2013년에 발표된 논문 "개복수초의 분류학적 재고(손동찬,고성철)" 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ramosa 는 일본의 일부지역에만 분포하고 pseudoamurensis 는 러시아 극동부,중국,한반도,일본에 분포한다는 것입니다.
형질의 차이로는
 1. amurensis ---------- 줄기는 분지하지 않는다. 꽃받침은 8개이고 꽃잎길이보다 길거나 거의 같다.
 1. pseudoamurensis --줄기는 분지한다. 잎뒷면과 엽병에 털이없고, 꽃받침은 5~6개이고 꽃잎길이보다 짧다.
 1. ramosa  ------------ 줄기는 분지한다. 잎뒷면과 엽병에 털이 있고, 꽃받침은 8개이고 꽃잎길이보다 길거나 거의 같다.
제가 궁금한것은 이런 논문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어 발표되었다면 왜 산림청과 환경부에서는 바로 수정하지 않고 두개의 이름을 같이 두거나
엉뚱한곳에 통합되고 또 설명문이 없느냐 하는 것입니다.
학자들은 대체로 우리나라의 복수초속을 복수초,개복수초,세복수초 의 3종만 인정하는 추세로 가는것 같습니다.
개복수초면 어떻고 가지복수초면 어떻습니까
눈 쌓인땅위로 꽃이피어났으니 전 복수초라 부를랍니다.
설중 복수초를 제대로 담으셨습니다
저는 저런 멋진 설중화를 담아보고 싶은데 기회가 안닿는군요
대리만족해야겠습니다
어제 단체 연차라 그쪽으로 달려야 했었는데 감기가 아직 다리를 잡고있어
꼼짝없이 방콕 했는데 해마다 보는 아이들 이지만 참 고우네요~~ㅋ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0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