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고본

작성일 16-10-13 16:40 | 1,277 | 11 |추천수: 3

본문

NIKON D750, F6.3,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320s, 0.00EV, Spot, 105mm, 1/1, Flash not fired, 1240 x 855, 2016:09:07 09:57:53

NIKON D750, F6.3, ISO-1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105mm, 1/1, Flash not fired, 1240 x 859, 2016:09:07 09:55:08

NIKON D750, F6.3, ISO-100, Auto WB, Manual Exposure, 1/125s, 0.00EV, Spot, 105mm, 1/1, Flash not fired, 1240 x 843, 2016:09:07 09:34:19

NIKON D750, F6.3,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320s, 0.00EV, Spot, 105mm, 1/1, Flash not fired, 807 x 1240, 2016:09:07 09:59:03

초짜인지라 고본과 개회향을 두고 한달 이상을 고민했습니다.
인터넷 검색으로는 그산에 피어 있는 것이 개회향이라 하여, 게다가 키도 작아서 개회향으로 믿고 있었는데
여러가지 동정포인트들을 종합하여 사진을 찬찬히 들여다 보고 고본으로 결론지었습니다.
(저 혼자~~^^*, 고수님들께서 잘못된 점은 지적해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그동안 조사한 구별 포인트
1. 개회향은 고산지 바위틈새에, 고본은 풀밭에서
2. 개회향은 키가 20cm 내외, 고본은 30까지 곧게 자란다.
3. 개회향은 꽃자루가 5개 내외, 고본은 10개 이상으로 꽃이 크고 풍만하다.
4. 개회향은 개화기가 8월, 고본은 9월 경
5. 개회향의 열매는 꽃받침 조각이 뾰족하게 남아있고 고본은 남아있지 않다.

이녀석들은 풀밭에서 20cm내외, 꽃자루가 5개 내외로 9월초 만났습니다.
이렇게 고본과 개회향의 특징이 섞여 있으니, 초짜를 시험에 들게 하더군요.
그런데 2번째 사진에서와 같이 열매의 꽃받침 조각이 남아있지 않아 고본으로 결론지었습니다.~~^^*

다른 것도 구별하기 쉽지 않은데, 산형과는 더 어렵네요...ㅠ.ㅠ

댓글목록 11

선명하고도 예쁘게 담으셨습니다
잎이 더 가늘게 갈라져서 개회향이 아닐까합니다
더 전문가께서 정답을 알려주시겠지요
아주 감사히, 반갑게 읽고 갑니다.
저도 담아다 놓고 이름표 달으려고 했었거든요.
사실 산형과는 별 관심이 없지만요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0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