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떡윤노리나무

작성일 16-05-28 08:32 | 1,362 | 6 |추천수: 2

본문

NIKON D200, F20.0,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80s, -2.67EV, Spot, 70mm, 1/1, Flash not fired, 1000 x 669, 2016:05:25 10:45:06

NIKON D200, F20.0,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80s, -2.67EV, Spot, 70mm, 1/1, Flash not fired, 1000 x 669, 2016:05:25 10:45:01

윷놀이를 만드는 나무에서, 윤노리나무가 되었다 합니다.

잎이 두텁고, 잎자루가 짧고, 잎이 가지 끝에 몰려 나는 것으로...
떡윤노리나무 로 이름 올립니다.<출처 두산백과....아래 올립니다.>
혹시 의견 주시면 감사히 생각하겠습니다.

==두산백과==
떡윤노리나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라며 높이 약 5m이다. 어린 가지와 잎자루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뭉쳐난다.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두꺼우며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점차 좁아진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나다가 점차 없어진다. 잎자루가 윤노리나무에 비해 짧다.

꽃은 4∼5월에 흰빛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와 잎자루에 혹처럼 생긴 돌기가 있다. 꽃받침에는 흰빛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5장으로 둥근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20개이고, 암술대는 2∼4개로서 밑동이 서로 붙는다. 씨방은 2∼4실(室)이다.

열매는 공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의 이과(梨果)로서 지름 약 12mm이고 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한국특산종으로 제주도·경상남도(진도)·전라남도(월출산·백운산·금성산)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떡윤노리나무 (두산백과)

댓글목록 6

재미있는 설명이 덧붙여있네요...윤노리나무 ...
마니 본 것 같은데
사진은 담지 않은 것 같아요 ㅎㅎ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0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