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애기족제비고사리

작성일 15-12-23 09:20 | 1,355 | 8 |추천수: 5

본문

Canon EOS 5D Mark II, F5.6, ISO-1600, Auto WB, Manual Exposure, 1/2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5:12:19 13:08:36

Canon EOS 5D Mark II, F5.6, ISO-16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600 x 900, 2015:12:19 13:09:15

Canon EOS 5D Mark II, F5.6, ISO-16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5:12:19 13:11:30

Canon EOS 5D Mark II, F5.6, ISO-1600, Auto WB, Manual Exposure, 1/2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5:12:19 13:39:08

Canon EOS 5D Mark II, F5.6, ISO-16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600 x 900, 2015:12:19 13:11:55

"2~3회 우상복엽이고 엽맥이 유리맥이며 제일 아래의 우편에 하향하는 제1소우편이 길고 우축의 인편은 편평한것이 많다.
  포자낭은 엽신 뒷면 전체에 산포하며 원형이고 포막은 만입부가 붙는다."

복잡한 용어들로 나열되어 있으나 나로서는 더 쉽게 풀어쓰기가 어렵네요.

댓글목록 8

답글
이 관중속의 개체들..... 특히 족제비고사리 종류들의 구분은 포자낭군의 모습보다 각 부위의 인편(비늘조각)에 모습이 더 중요하더군요.
포자낭군의 모습과 달린 위치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더군요. 그래서........
포자낭군의 모습을 올리면 오히려 더 헷갈릴것같아 일부러 올리지 않았습니다.
각 부위의 인편에 모습을 올리는것은 여기에 5장밖에 올리질 못해서 불가능할것 같습니다. (그다지 예쁜 모습도 아니고....... ㅎ~)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1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