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민들레
작성일 15-03-26 17:49
조회 1,307
댓글 11
추천수: 0
본문
Canon EOS 5D Mark II, F8.0, ISO-200, 1/2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593 x 890, 2015:03:25 16:31:40
Canon EOS 5D Mark II, F8.0, ISO-200, 1/2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593 x 890, 2015:03:25 16:29:26
Canon EOS 5D Mark II, F8.0, ISO-200,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80 x 653, 2015:03:25 16:28:07
Canon EOS 5D Mark II, F8.0, ISO-100, 1/400s, 0.00EV, Spot, 105mm, Flash not fired, 980 x 653, 2015:03:22 12:37:18
4번 사진 : 동강표 산민들레
걍 민들레와 산민들레 차이가 뭘까요?
고수님
한 말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걍 민들레와 산민들레 차이가 뭘까요?
고수님
한 말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댓글목록 11
저는 하수라서 패쓔~~합니다.
ㅎ~
민들레 - 잎의 열편이 날카롭고 밑을 향한다. 총포에 털이없고 막질에 돌기가 있다.
산민들레 - 잎의 열편이 둔하고 옆을 향한다. 총포에 털이있고 돌기가 없다.
뭐~ 이정도로 이해가 되려나요?
민들레 - 잎의 열편이 날카롭고 밑을 향한다. 총포에 털이없고 막질에 돌기가 있다.
산민들레 - 잎의 열편이 둔하고 옆을 향한다. 총포에 털이있고 돌기가 없다.
뭐~ 이정도로 이해가 되려나요?
박다리님의 해박한 지식에 감사드립니다.
예쁘게 담으셨습니다
생명의 신비를감상 합니다,
흔해 보이는거지만 다 다르군요.
석양빛인가요? 빛이 따뜻해 보입니다..
동강할미 보실랴 산민들레 볼실랴,
대단 하십니다.
대단 하십니다.
민들레 볼 때마다 참 궁금해지죠!
전 주로 꽃받침을 유심히 보게되는데......
서양민들레
모든 잎(根生葉)은 뿌리에서 모여 나며, 로제트 형상으로 퍼지고,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葉緣) 모양의 변이가 아주 심하다.
산민들레
잎은 사방으로 퍼지고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양면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가 아래를 향하여 4∼5쌍으로 갈라진다는점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기도 한다.
서양민들레와의 차이는 꽃받침에서 알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자생 민들레는 꽃받침이 그대로 있지만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의 경우는 아래로 쳐져 있다는 점으로 가끔씩 눈여겨 보는 편입니다.
전 주로 꽃받침을 유심히 보게되는데......
서양민들레
모든 잎(根生葉)은 뿌리에서 모여 나며, 로제트 형상으로 퍼지고,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葉緣) 모양의 변이가 아주 심하다.
산민들레
잎은 사방으로 퍼지고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양면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가 아래를 향하여 4∼5쌍으로 갈라진다는점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기도 한다.
서양민들레와의 차이는 꽃받침에서 알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자생 민들레는 꽃받침이 그대로 있지만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의 경우는 아래로 쳐져 있다는 점으로 가끔씩 눈여겨 보는 편입니다.
서양민들레 공부 덕분에 잘하고 가유~~꾸뻑
그냥 지나쳤는데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