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쑥부쟁이(미국)

작성일 13-11-22 05:36 | 600 | 11 |추천수: 2

본문

X20, F3.6, ISO-125, Auto WB, Manual Exposure, 1/125s, 0.00EV, Spot, 24.6mm, Flash not fired, 900 x 506, 2013:10:01 09:42:32

Smooth Aster
Symphyotrichum laeve (Aster laevis)

그럼 미국에 피어있는 이건 미국쑥부쟁인가요? ㅎㅎ ^^

댓글목록 11

답글
수목원 같은데서 한국이 원산지라고 팻말에 씌여있는 건 본적이 있습니다만,
꽃이름에 Korean xxxx 이라고 된걸 본 기억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있을지도 모르니 앞으론 주의깊게 봐야겠네요.
라일락 중에 '미쓰김 (Miss. Kim 한국원산)' 이라는 종류가 있지요. ^^
답글
Kudzu 라고 하나본데, 검색해보니, 여기(미 동부 펜실바니아 남쪽으로)도 엄청 많이 퍼져있다는군요.
자연에 해를 끼치는 식물로 분류되어서 퇴치방법에 애를 쓰고 있나 봅니다.
1876년에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독립100주년 기념전시에 소개가 되었다는데,
아시아에서 들어와서 비탈길에 땅 패이는 걸 방지하고, 가축사료용으로 심기 시작했다는데
지금은 콘트롤이 안되고 다른 식물들을 죽이는 해를 끼치고 있군요.
그런데 저는 자연에서 아직 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마' 비슷한건 무섭게 퍼지는 걸 흔히 보는데)
칡은 자주빛 꽃이 곱잖아요?  건강에도 좋다고 하고...
답글
이름에서 일본어 냄새가 나는 것 같습니다. 미국에도 환경위해식물 이딴 개념이 있군요..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인터넷에보니, 쑥부쟁이 종류가 열가지가 넘게 보이는데, 영어로는 모두 Aster 라고 되어 있네요.
색깔도 흰색부터, 붉은색, 보라색 등, 꽃잎이나 잎사귀의 모습도 조금씩 다르고.
그러니 쑥부쟁이도 구별하기가 어렵네요...
참고: http://www.ct-botanical-society.org/galleries/gallerybp3.html (Connecticut Botanical Society)
답글
Aster 라는건 국화과 쑥부쟁이속의 종류(한국에선 "참취속" 이라 합니다만)의 학명입니다.
즉 세계 어느나라도 참취속에 해당하는 식물들은 모두 앞에 Aster 라고 표기 하는것이죠.
그리고 각 나라마다 그 나라에서 부르는 국명이 있겠지요.
우리나라의 경우 참취,개미취,쑥부쟁이,해국,비짜루국화 등의 종류들이 27종이 표준목록에 참취속으로 등록되어 있답니다.
참고로 Aster 는 세계적으로 약 400여종이 있다고 하네요.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2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