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어저귀

작성일 13-10-09 13:53 | 1,228 | 11 |추천수: 3

본문

NIKON D800, F20.0,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125s, 0.00EV, Spot, 30mm, 1/1, Flash not fired, 960 x 643, 2013:10:09 11:43:22

NIKON D800, F22.0,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125s, 0.00EV, Spot, 17mm, 1/1, Flash not fired, 960 x 643, 2013:10:09 11:44:01

NIKON D800, F22.0,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125s, 0.00EV, Spot, 35mm, 1/1, Flash not fired, 960 x 643, 2013:10:09 11:44:22

NIKON D800, F5.6,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500s, 0.00EV, Spot, 50mm, 1/1, Flash not fired, 960 x 641, 2013:10:09 11:35:12

NIKON D800, F5.6, ISO-100, Manual WB, Manual Exposure, 1/800s, 0.00EV, Spot, 50mm, 1/1, Flash not fired, 960 x 643, 2013:10:09 11:37:51

어제 제비꽃 담다가 발견한 꽃..
태풍이 지난 다음의 다이나믹한 구름과 하늘을 기대 했지만
약간 거시기 합니다.

키운던 것이 퍼져 나간 것을 기억은 했는데
무슨 종인지 궁금해 했는데 아욱과 군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네이버 지식백과]
어저귀 [China jute] (두산백과)
인도산이고, 섬유식물로 한때 많이 재배하였으며 들로 퍼져 나간 것도 있다. 귀화식물이며 높이 1.5m 정도이며 전체가 털로 덮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밑부분이 합쳐지며 수술은 합쳐져서 통처럼 되고 암술은 10여 개의 방으로 갈라진 씨방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며 9월에 결실하며 심피가 돌려난 모양으로 배열하고 흑색으로 익으며 뾰족한 끝이 밖으로 젖혀진다.
종자의 겉에 털이 있다. 줄기에서 윤기가 나는 섬유를 채취하여 로프와 마대를 만들고 찌꺼기는 종이 원료로 한다.






댓글목록 11

오묘한 생김새의 열매가 시선을 사로 잡는데요.
꽃잎도 의외로 재미있는 형상이구요.
즐감합니다. ^^ 어저귀 기억해야 하는데 안보면 또 잊는게 ....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2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