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구슬골무꽃

작성일 13-09-17 18:13 | 1,158 | 15 |추천수: 1

본문

NIKON D800, F7.1, ISO-800, Manual WB, Auto Exposure, 1/200s, -1.00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1198 x 800, 2013:07:30 15:27:36

NIKON D800, F9.0, ISO-800, Manual WB, Auto Exposure, 1/320s, -1.00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1198 x 800, 2013:07:30 15:26:15

881 x 1692

구슬골무꽃(Scutellaria moniliorrhiza Kom.)


백두산 1500m 지역에서 찍어오면서
참골무꽃 닮았다 하면서 찍어와서 이름 찾느라 애먹었습니다.
도감사진으로는 있는 것이 없고 국생종에 붙은 사진은 도감과 달라 제외했습니다.

간신히 표본으로 확인했는데  생육지가 백두산 지역이라는 소리에 동정했습니다.
맨아래 확대사진을 보면서 도감 기재문과 확인해 봐주시기 바랍니다.

의심나면 알려주세요.

잎 : 대생하고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지만 가지의 것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1-3cm, 나비 3-12mm로서 표면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다소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2mm이다.

꽃 :  7-8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엽액에 1송이씩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4mm로서 끝이 거의 수평하며 상순(上脣) 뒷면에 부속편이 있고
화관은 투구 모양으로 곧게 서며 길이 12mm이고 겉에 흰색 털이 밀생한다.
줄기 :  높이가 25cm에 달하고 원줄기에 털이 거의 없으며 다소 예리한 능선이 있다.

사실 변종을 뺀 모든 골무꽃 표본을 출력해서 찾아봤지만 그래도 근처에 가는 것이 이것 뿐이더군요.
사실 이름이 붙은 이유가 뿌리가 구슬모양이라는데...
뿌리를 캐보지 않았으니 알수가 없죠.


암튼 가느골무꽃과 구슬골무꽃~~
이번 백두여행의 또다른 성과

댓글목록 15

상순 밑쪽에 부속편이 특이 하군요.  난 이것 때문에 구슬이라는 이름이 붙은줄 알았더니 뿌리로군요. ㅎ~
에구 덕분에 또 공부 좀 했습니다.
잎의 무늬가 참골무꽃과 유사한 모습이구...꽃 달리는 모습이 참골무꽃과 약간 다르군요...
전체적으로 말씀대로 구슬골무꽃으로 보입니다.

중국사이트 한번 가봐야 겠습니다.^^
중국 19종 중에 비슷한 모습이 없네요
http://www.plantphoto.cn/tujian?s=%E6%8B%89%E4%B8%81%E5%90%8D&k=Scutellaria

이 주소는 지우고 싶어유
저만 알고 싶어서...ㅎㅎㅎㅎㅎ^^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2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