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제비난초

작성일 13-06-26 17:18 | 820 | 14 |추천수: 2

본문

Canon EOS 5D, F3.5,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580 x 870, 2013:06:20 10:35:35

Canon EOS 5D, F4.0, ISO-100, Auto WB, Manual Exposure, 1/64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580 x 870, 2013:06:20 11:08:53

Canon EOS 5D, F4.0, ISO-400, Auto WB, Manual Exposure, 1/16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580 x 870, 2013:06:20 10:36:02

Canon EOS 5D, F5.6,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8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580 x 870, 2013:06:20 11:10:40

Canon EOS 5D, F5.6,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64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870 x 580, 2013:06:20 11:14:03

전날 만항재에서 이 개체를 보고 분명히 제비난초의 모습인데 꽃색이 녹색이라 고개를 몇번이나 가우뚱 거렸지요.
헌데 오늘... 울산의 금사매님이 설악산의 난초가 큰제비란인것 같다는 전화...........
그것은 꽃색이 흰색이어서 서슴없이 제비난초라고 했었거든요.
큰제비란에 대한 개념이 없었던 나 바로 찼아 보았지요.
기재문에 "밑에 잎 두장이 크고 줄기위쪽의 잎은 작아져 포와 같이 되며 꽃색이 녹백색이고 거가 가늘고 처지며 휘어진다."라고
 되었네요.
전날의 사진을 다시 보니 거의 확실한것 같습니다.
금사매님 덕분에 이름 하나를 찼았네요. ㅎ~......... 그저 고맙지요. 뭐~

댓글목록 14

고민을 많이 하시더니....ㅋ
꽃색으로 이녀석을 고민했다면 헛수고하신듯 합니다..
그 이유는 질문방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흰제비난초와는 확연히 다른 느낌이네요..호기심 많은 박다리님 덕분에 큰제비난초도 눈도장 찍어봅니다.^^
넓은잎제비란이라는 명칭은 북한에서 쓰는 이름일겁니다.
한국 국생종 정식명칭은 큰제비란이에요.

최사장님이 쓰는 식물이름이 중국식이거나 북한명칭이 있어 가끔 혼동이 오기도 하답니다.

그리고 넓은잎잠자리난은 있어요.
저도 헤깔릴뻔
난초만 전문으로하는 어느 전문가께서 이건 큰제비란이 아니라고해서 제비난초로 수정합니다.
우리나라에는 큰제비란이 자생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모습도 이와는 다른 모습이구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큰제비란이라고 올라온건 거의가 큰제비란이 아니라고 합니다.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2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