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왕제비꽃

작성일 13-05-12 21:03 | 396 | 9 |추천수: 1

본문

NIKON D700, F7.1,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320s, 0.33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3:05:12 10:18:11

NIKON D700, F5.6,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250s, 0.33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3:05:12 10:21:56

NIKON D700, F5.0,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200s, 0.33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3:05:12 10:09:46

NIKON D700, F7.1,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125s, 0.33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900 x 599, 2013:05:12 10:23:31

NIKON D700, F5.6, ISO-200, Auto WB, Manual Exposure, 1/200s, 0.33EV, Spot, 60mm, 1/1, Flash not fired, 599 x 900, 2013:05:12 12:03:42

                                                                  유기억 박사의 '한반도 제비꽃'을 보면
                                                                  중국에서 발견되는 왕제비꽃(V.websteri)은 꽃 색이 자주색이며 꽃자루에 털이 없는데 반해
                                                                  우리가 왕제비꽃이라 칭하는 본 제비꽃은 꽃이 흰 색이며 꽃자루에 약간의 털이 있어 구별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일본에서 발견되는 여뀌잎제비꽃(V.thibaudieri)은 잎의 거치가 없으므로 이와도 구별 되므로
                                                                  본 제비꽃을 왕제비꽃이 아닌 새로운 분류군으로 명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기재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9

학명이 같은데 모양이 다르다........... 문제는 있군요.
하지만 지역적인 특성에 의한 변화는 아닌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제비꽃들도 약간의 털이나 꽃색이 다른것은 얼마던지 있는데 이것을 모두 다른 종으로 분류한다면
 너무 복잡해지는것 아닐까요? ㅎ~
점점 더 머리가 아파지는 제비네 동네 입니다. 에휴~ 머리야~~~~~~.
국생종에 여뀌잎제비꽃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으니...

마냥 부럽습니다.
저도 제비랑 놀고 싶어유

시간 되면 강가를 헤메는데
흔적이 전혀 없습니다.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93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