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부탁드립니다. (골담초, 참죽나무)
종명: 2
작성일 04-06-20 10:57
조회 898
댓글 14
본문
위는 골담초인 것 같고요... 아래는 가죽나무로 보이거든요...
맞는지요? 고수님들의 확인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14
큰마오님과 조아유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참죽나무에 한 표 더하며, 참고로 "FOREST KOREA"의 자료를 올립니다.
가죽나무는 소엽 아래쪽에 큰 톱니가 3∼4개 있으며, 주로 맨 아래 것의 끝에는 굵고 단단한 선점이 있어서 손으로 만지면 딱딱하게 만져진다. 가죽나무와 참죽나무는 식물학적 으로는 과가 다르지만 잎 모양이 매우 비슷하다. 가죽나무는 3∼4개의 큰 톱니와 선점(사마귀)이 있고 참죽나무는 잎 가장자리 전체에 잔톱니가 있는 점이 다르다.
<a href=http://www.forestkorea.org/pds/tree_sub2.asp?tree_id=217 target=_blank>http://www.forestkorea.org/pds/tree_sub2.asp?tree_id=217</a>
가죽나무는 소엽 아래쪽에 큰 톱니가 3∼4개 있으며, 주로 맨 아래 것의 끝에는 굵고 단단한 선점이 있어서 손으로 만지면 딱딱하게 만져진다. 가죽나무와 참죽나무는 식물학적 으로는 과가 다르지만 잎 모양이 매우 비슷하다. 가죽나무는 3∼4개의 큰 톱니와 선점(사마귀)이 있고 참죽나무는 잎 가장자리 전체에 잔톱니가 있는 점이 다르다.
<a href=http://www.forestkorea.org/pds/tree_sub2.asp?tree_id=217 target=_blank>http://www.forestkorea.org/pds/tree_sub2.asp?tree_id=217</a>
잘보고배우고 갑니다
아... 유환옥님의 글을 보니 옛 생각이 절로 납니다. 튀긴 것 정말로 맛이 있었죠. 갑자기 침이 넘어가네요.... 저는 그것을 가죽나무라고 들었거든요... 참죽나무라는 단어는 전혀 몰랐고요... 그리고 전의식 선생님의 말씀처럼 그 장소가 가깝다면 다시 가보겠는데 삼랑진이라 특별히 시간을 내기가 어렵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찹쌀풀을 쑤어서(고추가루도 좀 넣고) 가죽나무 잎에 칠해서 매달아 말린 다음 다 마르기 전에 먹기도 하고 바싹 마르면 잘라서 튀겨 먹기도 했던 것 같은데.....
도움주신 여러 고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일단 결론은 참죽나무로 하렵니다.
전의식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기수, 우수는 동정의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산림청에서 검색해보니 가죽나무와 붉은가죽나무는 기수1회우상복엽이지만 참죽나무는 기수인 경우도 있고 우수인 경우도 있는 모양입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우수군요. 제 나름대로 다시 정리해보았습니다. 가죽나무와 붉은가죽나무는 잎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참죽나무는 털이 없는 모양입니다. 아래에 제가 정리한 것을 올려봅니다.
--------------------------------------------------------------------------
* 가죽나무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 잎에 연모(부드러운 털)가 있고 소엽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 붉은가죽나무(for.erythrocarpa Rehder) : 기수1회우상복엽. 잎에 연모(부드러운 털)가 있고 소엽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다.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으로 털이 없다.
* 참죽나무 : 잎은 호생하고 기수 또는 우수우상복엽. 잎은 털이 없으며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거나 없다. 잎은 식용가능하다.
--------------------------------------------------------------------------
전의식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기수, 우수는 동정의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산림청에서 검색해보니 가죽나무와 붉은가죽나무는 기수1회우상복엽이지만 참죽나무는 기수인 경우도 있고 우수인 경우도 있는 모양입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우수군요. 제 나름대로 다시 정리해보았습니다. 가죽나무와 붉은가죽나무는 잎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참죽나무는 털이 없는 모양입니다. 아래에 제가 정리한 것을 올려봅니다.
--------------------------------------------------------------------------
* 가죽나무 :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 잎에 연모(부드러운 털)가 있고 소엽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 붉은가죽나무(for.erythrocarpa Rehder) : 기수1회우상복엽. 잎에 연모(부드러운 털)가 있고 소엽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다.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으로 털이 없다.
* 참죽나무 : 잎은 호생하고 기수 또는 우수우상복엽. 잎은 털이 없으며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거나 없다. 잎은 식용가능하다.
--------------------------------------------------------------------------
아래는 참죽나무로 봐야할 것 같습니다. 참죽나무는 짝수, 가죽나무는 홀수의 깃꼴겹잎인데, 이 사진은 짝스군요. 허성원님께서는 촬영지가 가깝다면 촬영현장에서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어원은 절에서 스님들이 나물로 해먹을 수 있는 나무는 참중나무(참죽나무)로, 못먹는 나무는 가짜중나무(가죽나무) 로 부른데서 비롯됐답니다.
박상진교수님 책에 보면 남부지방에서는 나물로 무쳐먹는 참죽나무를 가죽나무로 부르고 가죽나무는 개가죽나무로 불러 혼란스럽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허성원님 고향에서는 참죽나무를 가죽나무로 불렀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본 가죽나무에는 크기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거의 모든 잎에 사마귀점이 있더군요. 그 사마귀점을 손톱으로 눌러 터뜨리면 지독한 냄새가 납니다. 가죽나무에서 나는 냄새의 원천이지요.
박상진교수님 책에 보면 남부지방에서는 나물로 무쳐먹는 참죽나무를 가죽나무로 부르고 가죽나무는 개가죽나무로 불러 혼란스럽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허성원님 고향에서는 참죽나무를 가죽나무로 불렀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본 가죽나무에는 크기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거의 모든 잎에 사마귀점이 있더군요. 그 사마귀점을 손톱으로 눌러 터뜨리면 지독한 냄새가 납니다. 가죽나무에서 나는 냄새의 원천이지요.
참죽나무에 동감합니다.
산림청에서 가죽나무를 검색해보니... 이렇게 적혀 있군요.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참죽나무가 아니고, 먹을 수 없는 가짜 참죽나무라는 뜻에서 가죽나무라고 하며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
우리 서부경남(함안 대산)에서는 가죽나무를 나물로 해서 먹었는데... 산림청에서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것은 참죽나무라네요... 그럼 우리가 어릴 때 먹은 것은 가죽나무가 아니라 참죽나무였다는 말인가요? 분명히 가죽나무 어린 순을 나물로 해먹었는데... 아시는 분을 좀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산림청에서 가죽나무를 검색해봐도 모감주님께서 말씀하신 큰 사마귀점이 없는 게 많던데... 물론 산림청 설명에는 이렇게 나오네요...
"가죽나무(가중나무) :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그런데 사진에서는 선점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고요...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참죽나무가 아니고, 먹을 수 없는 가짜 참죽나무라는 뜻에서 가죽나무라고 하며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
우리 서부경남(함안 대산)에서는 가죽나무를 나물로 해서 먹었는데... 산림청에서는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것은 참죽나무라네요... 그럼 우리가 어릴 때 먹은 것은 가죽나무가 아니라 참죽나무였다는 말인가요? 분명히 가죽나무 어린 순을 나물로 해먹었는데... 아시는 분을 좀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산림청에서 가죽나무를 검색해봐도 모감주님께서 말씀하신 큰 사마귀점이 없는 게 많던데... 물론 산림청 설명에는 이렇게 나오네요...
"가죽나무(가중나무) :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그런데 사진에서는 선점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고요...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아래 가죽나무 아니고, 참죽나무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잎 아래부분에 큰 사마귀점이 없는 걸로 봐서 가죽나무는 분명 아닙니다. 참죽나무 같습니다.
잘 아시면서~~^^*
<골담초&가죽나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