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귀에 대하여....
종명: 2
작성일 04-04-12 11:54
조회 755
댓글 5
본문
잎은 같은나,무늬가 연한 것과 진한 것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댓글목록 5
이정래 님 말씀대로 토양(토성, 토질), 개화기의 기온, 습도, 일조량 등이 화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됩니다...
토질도 한 몫 하겠지요?
지가 언젠가 보았던 것을 올려봅니다.
새끼노루귀는 토양, 습도, 빛의방향에 따라 꽃색깔이 변한답니다.
보통 백색과 분홍, 자주색과 연분홍, 백색바탕에 분홍색 줄무늬가 있는 것들이 있답니다.
그래서 식물의 카멜레온 이라고 불린다네요.
또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흰색무늬가 있는게 특징이라고하네요.
기타 .... 죄송
새끼노루귀는 토양, 습도, 빛의방향에 따라 꽃색깔이 변한답니다.
보통 백색과 분홍, 자주색과 연분홍, 백색바탕에 분홍색 줄무늬가 있는 것들이 있답니다.
그래서 식물의 카멜레온 이라고 불린다네요.
또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흰색무늬가 있는게 특징이라고하네요.
기타 .... 죄송
얼샘의 명강의에 짝짝짝~
제 생각에는 우선 노루귀의 기본 색은 흰색과 진한 자색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색발현 유전자는 상호우성으로 어떤 색이 더 우성으로 발현하느냐에 따라 화색이 정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략 제가 본 색은 지금까지 미묘한 차이까지 합치면 20가지 이상이 되고요...
매년 기본적으로 7~8색을 보고 있습니다...
흰색과 남색에 가까운 진자색을 기본으로 분홍과 연자색이 있고요...
그 사이에 여러 색이 나타나네요...
이 색발현 유전자는 상호우성으로 어떤 색이 더 우성으로 발현하느냐에 따라 화색이 정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대략 제가 본 색은 지금까지 미묘한 차이까지 합치면 20가지 이상이 되고요...
매년 기본적으로 7~8색을 보고 있습니다...
흰색과 남색에 가까운 진자색을 기본으로 분홍과 연자색이 있고요...
그 사이에 여러 색이 나타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