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무슨꽃이예요?

궁금합니다

종명: 공심채
작성일 15-02-20 21:09 | 1,192 | 7

본문

SHV-E300S, F2.2, ISO-50, Auto WB, Auto Exposure, 1/850s, 0.00EV, CenterWeightedAverage, 4.2mm, Flash not fired, 800 x 450, 2015:02:17 10:25:43

SHV-E300S, F2.2, ISO-50, Auto WB, Auto Exposure, 1/1268s, 0.00EV, CenterWeightedAverage, 4.2mm, Flash not fired, 800 x 450, 2015:02:19 09:51:30

태국 출장길에 담아온 사진입니다.    늪가에 무리지어 피어있던 덩굴식물..  메꽃으로 보아도 되는지요 ?   

댓글목록 7

메꽃의 특징
잎 : 호생(어긋나기)
잎자루 : 약간 길다.
잎 생김새 : 긴 타원상의 피침형, 대부분 끝이 둔하다.
잎몸의 밑 부분이 귀모양으로 처진 형상이다.
꽃 :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색은 엷은 홍색이지만 진한 홍색들이 많다.
줄기 : 적갈색으로 털이 없이 매끈하며, 밑 부분에 종선이 있다.
위 사항들에 많이 부합되지 않나 싶습니다만 단언하기는 어렵네요. 꽃의 화관이 태국에서 자라서 그런지 나팔꽃 색상을 하고 있어 부합하지가 않는군요.
참고) 메꽃 :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w_free1&wr_id=534195&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B8%DE%B2%C9&sop=and]
고수님들의 고견을 부탁합니다. ~ 패스 ~
잎은 애기메꽃....꽃 모양과 샛갈은 고구마꽃....닮았군요
우리나라에는 자생하지 않는....메꽃과의 태국 고유종이 아닐까요...
물나팔꽃 Ipomoea aquatica. 영명은 타이나팔꽃, 물시금치 등으로 불리더군요.
동남아 습지나 습지 주변에 아주 흔합니다. 꽃 모양은 같지만 잎 모양은 약간씩 차이가 있기도...
Ipomea aquatica는 空心菜라고 불리는 덩굴성 아열대성 식물이며
태국, 필리핀, 중국남부지방에서 흔한 채소의 하나로 주로 볶음요리를 해 먹습니다.
空心菜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줄기의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베트남에서는 라우몽, 태국에서는 팍붕, 필리핀에서는 캉콩이라고 부릅니다.
영어로는 water spinach(물시금치라는 뜻)라고 부르지만 외형상으로는 미나리와 닮았습니다.
종자를 파종하여 재배하며 미나리를 베어내듯이 수확합니다.
우리나라에도 空心菜라는 이름으로 소개가 되어 있고 몇몇 회사에서 종자를 판매하는 것으로 압니다.
유익하고 자세한 정보에 감사드림니다..  몽블랑님, 꼬레아님, Blue Gull님, 모산재봄맞이님 그리고 청산62님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무슨꽃이예요? 목록

Total 71,04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