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복수초의 종명은?
종명: 세복수초
작성일 15-02-04 08:42
조회 1,125
댓글 9
본문
DSC-WX300, F11.0, ISO-800, Auto WB, Auto Exposure, 1/1000s, 0.00EV, Multi-segment, 15.13mm, 16/16, Flash not fired, 866 x 650, 2015:02:01 14:30:40
DSC-WX300, F10.0, ISO-800, Auto WB, Auto Exposure, 1/500s, 0.00EV, Multi-segment, 11.69mm, 16/16, Flash not fired, 866 x 650, 2015:02:03 11:46:37
DSC-WX300, F11.0, ISO-800, Auto WB, Auto Exposure, 1/800s, 0.00EV, Multi-segment, 15.13mm, 16/16, Flash not fired, 866 x 650, 2015:02:03 11:51:28
며칠 전 야생화 전초에 올린 복수초의
종명에 답을 구하려 올립니다
명쾌한 해답을 바랍니다
꽃과 잎이 함께 오르는 것으로 봐서
세복수초 같기도 하고
여기는 경남 양산인데?...!
종명에 답을 구하려 올립니다
명쾌한 해답을 바랍니다
꽃과 잎이 함께 오르는 것으로 봐서
세복수초 같기도 하고
여기는 경남 양산인데?...!
댓글목록 9
사진상으론 세복수초와 같아 보이네요
야사모전초방에 섬지기님이 제주에서 담아 올리신 사진과 같아보입니다
양산에서 야생으로 이 아이들이 자라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주에서만 자란다고 알려져왔는데....
야사모전초방에 섬지기님이 제주에서 담아 올리신 사진과 같아보입니다
양산에서 야생으로 이 아이들이 자라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주에서만 자란다고 알려져왔는데....
세복수초가 맞아 보입니다.
그런데 양산에도 세복수초가 있었나요?....... 확실히 야생이 맞는건지..........
확실한 야생이라면 새로운 사실이네요.
그런데 양산에도 세복수초가 있었나요?....... 확실히 야생이 맞는건지..........
확실한 야생이라면 새로운 사실이네요.
세북수초로 알겠습니다
이곳은 야생화를 많이 수집해서 키우는 곳이며 야생은 아닙니다
다른종의 복수초도 이곳에 있는줄 압니다
몽블랑님 박다리님 참 고맙습니다
이곳은 야생화를 많이 수집해서 키우는 곳이며 야생은 아닙니다
다른종의 복수초도 이곳에 있는줄 압니다
몽블랑님 박다리님 참 고맙습니다
역시 다른 곳에서 가져다가 재배하는 것이었군요
사진상으로 봐도 바닥에 낙엽송이나 메테세콰이어잎 같은 것과 상사화종류 상록잎이 있어 재배종인줄 추정했습니다
야생화전초방에는 순수한 야생화사진만 올리셔야합니다
자연산이 아닌 재배종등은 원예종으로 올리셔야 맞을듯합니다
사진상으로 봐도 바닥에 낙엽송이나 메테세콰이어잎 같은 것과 상사화종류 상록잎이 있어 재배종인줄 추정했습니다
야생화전초방에는 순수한 야생화사진만 올리셔야합니다
자연산이 아닌 재배종등은 원예종으로 올리셔야 맞을듯합니다
전초란의 이것을 원예종 란에 옮겨주세요
제가 잘못올렸습니다
홍매나 매화도 통도사의 정원수이니까 야생화가 아니므로 옮겨주세요
제가 잘못올렸습니다
홍매나 매화도 통도사의 정원수이니까 야생화가 아니므로 옮겨주세요
제가 이초님의 마음을 상하게 해드리려 그런 것은 절대 아닙니다
마음 상하셨다면 너그러이 양해해주십시요
저도 전초방의 야생화에 대한 정의를 정확한 설명을 들은 것은 없고
다만 전초방 상단의 설명문에 수목원의 식물과 원예재배식물을 제외한 자연상태의 야생화만 올려주세요를 참조로 했습니다
나름 이곳에서 야생화의 기준을 그렇게 정했다고 보기 때문에 그에 준하여 해석함이 옳다고 봅니다.
답변하신 통도사의 홍매도 분명 야생화가 아니니 원예종이나 풍경방에 올려야 맞다고봅니다.
제가 전초방에 올린 사진도 몇개는 원예종이나 나무등으로 옮겨야할 것이 있습니다(치자열매와 채진목)
하지만 게시자는 이동이 불가하여 삭제하는 수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그냥 있습니다.
그동안 제가 보아온 이초님의 넓으신 식견과 꽃을 사랑하시는 마음을 존경하고 있음을 헤아려주셨으면 합니다.
널리 양해해주셨으면 하고 그리고 감사합니다.
마음 상하셨다면 너그러이 양해해주십시요
저도 전초방의 야생화에 대한 정의를 정확한 설명을 들은 것은 없고
다만 전초방 상단의 설명문에 수목원의 식물과 원예재배식물을 제외한 자연상태의 야생화만 올려주세요를 참조로 했습니다
나름 이곳에서 야생화의 기준을 그렇게 정했다고 보기 때문에 그에 준하여 해석함이 옳다고 봅니다.
답변하신 통도사의 홍매도 분명 야생화가 아니니 원예종이나 풍경방에 올려야 맞다고봅니다.
제가 전초방에 올린 사진도 몇개는 원예종이나 나무등으로 옮겨야할 것이 있습니다(치자열매와 채진목)
하지만 게시자는 이동이 불가하여 삭제하는 수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그냥 있습니다.
그동안 제가 보아온 이초님의 넓으신 식견과 꽃을 사랑하시는 마음을 존경하고 있음을 헤아려주셨으면 합니다.
널리 양해해주셨으면 하고 그리고 감사합니다.
몽블랑님과 쪽지를 주고 받으면서 그렇게나 조금도 기분나쁜 지적이 아니라고 밝혔음에도
혹시나 회원 여러분께서 오해가 있을까봐서 이 란에 들어와 본바 제가 무척 기분이 상해 있지않을까 하는 의문을 지워드리기 위해서
또한번 올립니다
처음 몽블랑님의 지적을 읽고는 다른분들도 야생화가 아닌것을 올리는 것을 보고 따라한 것인데 유독 나의것에 대한 지적이냐 하는 생각도 순간 잠시
야사모의 본연의 취지가 야생화를 야생화로 가꾸고 살리고 재자리에 보전코져 하는 야사모라면 나 자신부터 스스로 본분을 지켜야 할 것 아니냐는 생각에
서슴없이 옮겨달라는 성화에 찬 독촉처럼 생각하기 쉬운 답글을 올렸네요
무심코 옮기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만으로 올린 글이었지만
단순하고 낙천적인 성격의 본성이 몽블랑님의 듣기에 반발처럼 들렸을 수 있으리라 짐작되는군요 그런뜻이 아님을 제삼 밝힙니다
자연이 좋아 도시를 떠나 야사모까지 알게되어 즐기고 사는 한 회원의 짧은 글과 마음을 읽고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혹시나 회원 여러분께서 오해가 있을까봐서 이 란에 들어와 본바 제가 무척 기분이 상해 있지않을까 하는 의문을 지워드리기 위해서
또한번 올립니다
처음 몽블랑님의 지적을 읽고는 다른분들도 야생화가 아닌것을 올리는 것을 보고 따라한 것인데 유독 나의것에 대한 지적이냐 하는 생각도 순간 잠시
야사모의 본연의 취지가 야생화를 야생화로 가꾸고 살리고 재자리에 보전코져 하는 야사모라면 나 자신부터 스스로 본분을 지켜야 할 것 아니냐는 생각에
서슴없이 옮겨달라는 성화에 찬 독촉처럼 생각하기 쉬운 답글을 올렸네요
무심코 옮기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만으로 올린 글이었지만
단순하고 낙천적인 성격의 본성이 몽블랑님의 듣기에 반발처럼 들렸을 수 있으리라 짐작되는군요 그런뜻이 아님을 제삼 밝힙니다
자연이 좋아 도시를 떠나 야사모까지 알게되어 즐기고 사는 한 회원의 짧은 글과 마음을 읽고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뭔가 착오가 있으신듯............
여긴 야생화 전초방이 아니라 질문방이거든요. ㅎ~
여긴 야생화 전초방이 아니라 질문방이거든요. ㅎ~
아 혹시 모를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 싶어 부연설명을 드렸습니다
이초님과 충분히 이해했습니다
이초님과 충분히 이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