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무슨꽃이예요?

궁금합니다

종명: 종지나물
작성일 14-10-15 22:20 | 1,049 | 6

본문

SHV-E300S, F2.2,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120s, 0.00EV, CenterWeightedAverage, 4.2mm, Flash not fired, 800 x 450, 2014:10:10 09:05:19

SHV-E300S, F2.2, ISO-80, Auto WB, Auto Exposure, 1/120s, 0.00EV, CenterWeightedAverage, 4.2mm, Flash not fired, 450 x 800, 2014:10:10 12:55:16

SHV-E300S, F2.2, ISO-50, Auto WB, Auto Exposure, 1/384s, 0.00EV, CenterWeightedAverage, 4.2mm, Flash not fired, 450 x 800, 2014:10:11 09:13:32

지난 10/5일자로 올렸것입니다. 산산수수, 박다리님께서 제비꽃과 종지나물로 동정을 주셨는데...  계속 지켜보니 꽃대가 올라와 꽃망울이 달리는가 싶더니 (두번째 사진)  꽃이 피지않고 바로 3쪼각으로 벌어져 씨앗이 보이네요...    부신지역 뿐 아니라 전라도 지방 야산에서 많이 볼 수 있네요..  다시한번 살펴 봐 주세요.. 

댓글목록 6

dolmen님, 다음 사진들과 함 비교 해 보세요.
1) 종지나물(제비꽃과) 잎사귀를 샘이 본 종지나물과 함 비교 해 보세요.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w_free1&wr_id=506261&sca=&sfl=wr_subject&stx=종지나물&sop=and]
2) 호제비꽃 열매 - 샘이 본 종지나물도 제비꽃과 이므로 열매 형태는 거의 유사하겠죠?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w_photo10&wr_id=45662&sca=&sfl=wr_name&stx=%B2%BF%B7%B9%BE%C6&sop=and]
결론은 샘이 결정하는 것이지만 저의 소견으로는 박다리님의 동정에 한 표 더 합니다.
답글
꼬레아님 친절한 정보 감사드림니다..    아파트 화단에도 이 개체가있어 틈만나면 들여다보면서 변화를 관찰중입니다.
지금까지 보아온것을 정리하면 꽃은 전혀 볼 수 없고, (밤에 살짝 피었다가 지는 경우는 아니겠죠 ? )  할미꽃처럼 고개 숙인 꽃망울이 달린 꽃대가 올라오고
얼마후 꽃망울이 곧게 서면서 서서히 3조각으로 벌어지면서 씨앗이 보이기시작합니다.  3조각으로 수평으로 벌어진후 하루를 넘기지 못하고 까만씨앗이 모조리 퉁겨져 나가고  꼬투리는 뒤로 제겨진채로 풍력발전기 모양으로 남아있네요...  ㅠ ㅠ
답글
※ 삭과(蒴果 capsule) 씨방의 정의 :
    - 익으면 과피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
    - 열매가 익어서 성숙하면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껍질이 갈라지며(open되어) 종자가 밖으로 나온다. - 돌맨님 사진 2번을 보시면 위에서 아래로 벌어지고 있지요?
돌맨님의 관찰일지를 들어 보니 꽃이 피는 과정을 지나 제비꽃과의 제비꽃의 종자를 맺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관찰하시고 있는 거지요.
씨방을 맺은 후 처음에는 고개를 숙인상태에서 둥그스럼한 형상을 한 다음 서서히 길어 집니다.
왜냐면 이는 씨방안에 씨가 커지는 현상을 보여 주는 것 입니다.
그 다음 과정은 열매가 익으면서 벌어져 떨어지든지 바람에 날아 가든지 새나 다른 곤충의 먹이가 되는 겁니다.
그리고 나면 풍차처럼 벌어진 과피는 서서히 말라 없어 집니다.
이것이 삭과 열매의 전형적인 종자번식 형태입니다.
이 꽃이 [종지나물]이라는 단서를 말씀해 주셨습니다.
아파트 화단이나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서 많이 나타나는 특성을 지닌 꽃이에요.
강한 생명력을 지닌 귀화식물이거든요.
잎의 형태와 종자의 형상이 [종지나물]에 가깝구요.
단정을 못짓는 것은 꽃이 핀 사진이 없어 1% 확신이 안 서네요.
봄꽃인데 가을에 나타난 것은 부산지역 특성상 기온이 봄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이 민감한 아이가 나왔다가
추운 날씨가 닥치니까 자손은 퍼뜨려야 하겠기에 꽃은 장기간 보여 주지 않고 타가수분 뿐만 아니라 자가수분 능력도 가진 아이라
벌.나비.곤충에 의한 타가수분을 기다리지 않고 이와 같은 현상을 보여 주고 있는 겁니다.
마침내 돌맨님 사진하고 아주 유사한 종지나물 잎사귀 사진을 찾아 내었습니다.
여기클릭 :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w_qna&page=&sfl=wr_1&stx=%C1%BE%C1%F6%B3%AA%B9%B0]
답글
꼬레아님 아주 자세한 설명 감사드림니다..  올려주신 다른 사진들하고 비교해보니 잎이 아주 닮았군요.    자가수분 능력도 가진 개체라는걸 새로이 알았네요...  이젠 의문점이 없어졌으니 보다 즐거운 마음으로 관찰을 지속 할 수 있겠네요.... ^ ^

무슨꽃이예요? 목록

Total 71,04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