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이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종명:
작성일 13-05-15 11:53
조회 393
댓글 5
본문
NIKON D3X, F18.0, ISO-200, Manual WB, Auto Exposure, 1/8s, -0.33EV, Multi-segment, 105mm, 1/1,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3:05:13 14:01:56
NIKON D3X, F18.0, ISO-200, Manual WB, Auto Exposure, 1/10s, 0.33EV, Multi-segment, 105mm, 1/1,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3:05:13 13:59:25
전초는 둥굴레와 비숫한데 꽃 모양은 틀려요.
댓글목록 5
퉁둥굴레 같아 보입니다.
포가 있으며 꽃대의 길이가 길다
꽃의 수가 2개 이상이다.
아래의 자료에서 그대로 가져 왔습니다.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w_study&wr_id=17658&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B5%D5%B1%BC%B7%B9&sop=and
포가 있으며 꽃대의 길이가 길다
꽃의 수가 2개 이상이다.
아래의 자료에서 그대로 가져 왔습니다.
http://www.wildplant.kr/comzy/bbs/board.php?bo_table=w_study&wr_id=17658&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B5%D5%B1%BC%B7%B9&sop=and
포가 3장인 것은 처음 봅니다.
포가 있는 종류로는퉁~~~외에 용~~~도 있으니 한번 확인해 보세요.
포가 있는 종류로는퉁~~~외에 용~~~도 있으니 한번 확인해 보세요.
넓은 포의 모양으로는 용둥굴레인것 같습니다.
다만 포가 화경의 끝 화관 바로밑에 달리면 용둥굴레. 중간에 달리면 목포용둥굴레. 중상부에 달리면 안면용둥굴레로 알고있습니다.
퉁둥굴레는 화경이 2~3개로 갈라지고 같은수위 포가 달리지만 모양이 이렇게 넓지않고 좁은 피침형입니다.
다만 포가 화경의 끝 화관 바로밑에 달리면 용둥굴레. 중간에 달리면 목포용둥굴레. 중상부에 달리면 안면용둥굴레로 알고있습니다.
퉁둥굴레는 화경이 2~3개로 갈라지고 같은수위 포가 달리지만 모양이 이렇게 넓지않고 좁은 피침형입니다.
둥굴레는 좀 쉬울줄 알았는데 여기도 어지럽네요...ㅠ
설용화님, 킹밸님, 박다리님 감사합니다.
퉁둥굴레와 용둥굴레 비숫하게 생겨 구별하기 어려워요.
퉁둥굴레와 용둥굴레 비숫하게 생겨 구별하기 어려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