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나무꽃이에요?
종명: 산딸나무
작성일 12-06-20 17:59
조회 887
댓글 5
본문
Canon EOS 5D Mark II, F8.0, ISO-200, 1/4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80 x 653, 2012:06:13 15:39:49
Canon EOS 5D Mark II, F4.0, ISO-250, 1/2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80 x 653, 2012:06:13 17:30:01
전 한라산에서 처음 봅니다.
산딸나무는 두 번째 사진으로 알고 촬영했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2번 사진의 꽃잎색은 하얀 것은 무슨 이유인가요?
산딸나무는 두 번째 사진으로 알고 촬영했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2번 사진의 꽃잎색은 하얀 것은 무슨 이유인가요?
댓글목록 5
산딸나무..... 길가에 가로수로 많이 심어져 있지 않나요? ㅎ~
1번 사진은 꽃잎이 옅노랑색인데다 가장자리는 연분홍색도 보이고 꽃잎안에는 점박이 무늬가 있는데 이것은 무슨 현상인가요?
산딸나무: Japanese Dogwood
변형 된 산딸나무 꽃잎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두 장씩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이 십자가를 연상케 한다.
유럽의 여러 기독교 국가와 미국에서는 십자가 모양의 꽃과 아름다움 때문에 산딸나무를 정원수로 널리 심는다.
미국산딸나무, 꽃산딸나무, 서양산딸나무 등 여러 종류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있다.
기독교인들의 전설에 의하면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쓰인 나무가 통칭 Dogwood 라 불리는 산딸나무라고 한다.
이스라엘의 산딸나무는 지금보다 재질이 단단하고 컸으며, 당시에는 예루살렘지역에서 가장 큰 나무였다.
그러나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이후 다시는 십자가를 만들 수 없도록 하느님이 키를 작게 하고 가지도 비꼬이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한 십자가에 못박힐 때의 모습을 상징하는 十자 꽃잎을 만들었다고도 한다.
꽃잎의 끝은 예수의 손바닥에 박힌 못처럼 색이 약간 바래고 흰 모양을 나타낸다.
붉은 수술은 예수의 머리에 씌워진 가시관을 나타내며, 붉은 열매가 몇 개씩 붙어있는 모습은 예수의 피를 나타낸다.
..Dogwood 를 우리 식으로 이해하면 예수가 못박힌 십자가 나무로서 몹쓸 '개나무'가 된다.
서양사람들이야 개가 우리처럼 천대받은 동물이 아니라고는 하나 아무러면 십자가 나무의 이름이 될 수 있겠는가?
어원에 대한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첫째는 옛날 산딸나무의 껍질을 쪄서 나온 즙으로 개의 피부병을 치료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로는 산딸나무는 목질이 매우 단단하여 나무꼬챙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것에서 비롯 된 영어 고어가 dag, 혹은 dog이었다는 것이다.
참고) 우리 나무의 세계 1-박상진 著 발췌함.
산딸나무: Japanese Dogwood
변형 된 산딸나무 꽃잎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두 장씩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모습이 십자가를 연상케 한다.
유럽의 여러 기독교 국가와 미국에서는 십자가 모양의 꽃과 아름다움 때문에 산딸나무를 정원수로 널리 심는다.
미국산딸나무, 꽃산딸나무, 서양산딸나무 등 여러 종류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있다.
기독교인들의 전설에 의하면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쓰인 나무가 통칭 Dogwood 라 불리는 산딸나무라고 한다.
이스라엘의 산딸나무는 지금보다 재질이 단단하고 컸으며, 당시에는 예루살렘지역에서 가장 큰 나무였다.
그러나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힌 이후 다시는 십자가를 만들 수 없도록 하느님이 키를 작게 하고 가지도 비꼬이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한 십자가에 못박힐 때의 모습을 상징하는 十자 꽃잎을 만들었다고도 한다.
꽃잎의 끝은 예수의 손바닥에 박힌 못처럼 색이 약간 바래고 흰 모양을 나타낸다.
붉은 수술은 예수의 머리에 씌워진 가시관을 나타내며, 붉은 열매가 몇 개씩 붙어있는 모습은 예수의 피를 나타낸다.
..Dogwood 를 우리 식으로 이해하면 예수가 못박힌 십자가 나무로서 몹쓸 '개나무'가 된다.
서양사람들이야 개가 우리처럼 천대받은 동물이 아니라고는 하나 아무러면 십자가 나무의 이름이 될 수 있겠는가?
어원에 대한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첫째는 옛날 산딸나무의 껍질을 쪄서 나온 즙으로 개의 피부병을 치료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로는 산딸나무는 목질이 매우 단단하여 나무꼬챙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것에서 비롯 된 영어 고어가 dag, 혹은 dog이었다는 것이다.
참고) 우리 나무의 세계 1-박상진 著 발췌함.
좀 더 지나면 빨갛게 점점이 물이 들걸요? .... 좀 보기 좋지않은 모습이지만........
산딸나무에 줄서기...
꽃피는 시기만 잘 맞으면 인근 야산에서도 더러 보이지요.
꽃피는 시기만 잘 맞으면 인근 야산에서도 더러 보이지요.
박다리님, 여린발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