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좀 알려주십시오.
종명:
작성일 12-06-18 19:15
조회 925
댓글 9
본문
FinePix S9000 , F3.6,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13s, 0.00EV, Spot, 6.2mm, Flash not fired, 900 x 675, 2012:06:17 21:31:44
FinePix S9000 , F3.6, ISO-200, Auto WB, Auto Exposure, 1/38s, 0.00EV, Spot, 6.2mm, Flash not fired, 900 x 675, 2012:06:17 21:31:14
설악산에서본 골무꽃속입니다.
아무리 머릴 굴려봐도 내능력으로는 이름을 몾달아 주겠습니다.
포가 난형의 모습이라할수있고 포에 자루가있는 모습에서 수골무꽃인가 의심해 봅니다마는 도저히....... ㅎ~
부탁합니다.
아무리 머릴 굴려봐도 내능력으로는 이름을 몾달아 주겠습니다.
포가 난형의 모습이라할수있고 포에 자루가있는 모습에서 수골무꽃인가 의심해 봅니다마는 도저히....... ㅎ~
부탁합니다.
댓글목록 9
이 시기에(늦게) 피는 골무꽃이라 호골무꽃을 우선 생각합니다.^^
포인트를 나름 잡고 있었는데, 다 잊은 듯....
어디에 꽃에 각도 등 자료가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호골무꽃"으로 생각합니다.
포인트를 나름 잡고 있었는데, 다 잊은 듯....
어디에 꽃에 각도 등 자료가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호골무꽃"으로 생각합니다.
잎 줄기가 길은 것도 포인트 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호골무꽃은 줄기에 특히 마디에 위로향한 구부러진 털이 있다고 되어있어서요.
이것은 산골무꽃처럼 털이 옆으로 퍼져있거든요. 그렇다고 산골무꽃은 분명 아니고............. ㅎ~
이것은 산골무꽃처럼 털이 옆으로 퍼져있거든요. 그렇다고 산골무꽃은 분명 아니고............. ㅎ~
줄기와 잎에 털이 거의 없고, 잎은 심장저이다. 葉柄은 葉身보다 길다.
- 잎은 1-1.5cm, 예두. 지하경의 절간이 약간 비후된다 ................. 수골무꽃
- 잎은 3-5cm, 원두. 지하경의 절간이 비후되지 않는다 ................. 호골무꽃
위 검색표에 들어 맞는 것 같은데요.
태백산맥엔 주로 호골무꽃이 분포하고, 수골무꽃은 지리산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길...
- 잎은 1-1.5cm, 예두. 지하경의 절간이 약간 비후된다 ................. 수골무꽃
- 잎은 3-5cm, 원두. 지하경의 절간이 비후되지 않는다 ................. 호골무꽃
위 검색표에 들어 맞는 것 같은데요.
태백산맥엔 주로 호골무꽃이 분포하고, 수골무꽃은 지리산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길...
사진을 확대해서 보니 줄기에 털이 있는 것 같군요. 그렇다면 그늘골무꽃(Scutellaria fauriei)도 같이 검토해 보시길...
한국산 골무꽃속 식물의 분류라는 논문(김상태&이상태,1995)에 그늘골무꽃은 산골무꽃의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한국산 골무꽃속 식물의 분류라는 논문(김상태&이상태,1995)에 그늘골무꽃은 산골무꽃의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네. 줄기와 잎자루에 옆으로 난 털이 있었습니다.
현장에서 그늘골무꽃도 거론이 되었습니다만 그늘은 아닌걸로 판단했었습니다.
검색표에 호골무와 수골무가 모두 위로향한 털이 있고 다만 호골무는 잎의 끝이 둥글고 수골무는 잎의 끝이 뾰족하다는 표현이 있어서.......
현장에서 그늘골무꽃도 거론이 되었습니다만 그늘은 아닌걸로 판단했었습니다.
검색표에 호골무와 수골무가 모두 위로향한 털이 있고 다만 호골무는 잎의 끝이 둥글고 수골무는 잎의 끝이 뾰족하다는 표현이 있어서.......
심장저(심장형엽저) : 심장의 윗부분처럼 둥근 중간의 쑥 들어간 엽저
葉柄(잎자루) : 잎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
葉身(잎몸) : 잎을 잎자루와 구분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잎자루를 제외한 넓은 부분을 말합니다.
地下莖(땅줄기) : 땅속을 수평으로 기어서 자라는 줄기
銳頭(예두) : 잎 끝이 예각 정도로 뾰족한 모양
圓頭(원두) : 둥그스름한 잎의 끝모양
節間(절간) : 마디와 마디 사이
肥厚(비후) : 뿌리의 형상으로 살찐 덩어리 모양
葉柄(잎자루) : 잎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
葉身(잎몸) : 잎을 잎자루와 구분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잎자루를 제외한 넓은 부분을 말합니다.
地下莖(땅줄기) : 땅속을 수평으로 기어서 자라는 줄기
銳頭(예두) : 잎 끝이 예각 정도로 뾰족한 모양
圓頭(원두) : 둥그스름한 잎의 끝모양
節間(절간) : 마디와 마디 사이
肥厚(비후) : 뿌리의 형상으로 살찐 덩어리 모양
코레아님이 궁금해서 찾아 보신 듯 하십니다.^^
코레아님에 글에 기대어 풀이를 해 보면
호골무꽃
*잎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이<잎줄기>, 잎보다 길다.
*잎에 끝부분이 둥그스름 하다.
<=포인트라고 누군가 지적했습니다.
코레아님에 글에 기대어 풀이를 해 보면
호골무꽃
*잎과 줄기를 연결하는 부분이<잎줄기>, 잎보다 길다.
*잎에 끝부분이 둥그스름 하다.
<=포인트라고 누군가 지적했습니다.
아까시님의 명쾌한 강의를 용어만 알아 듣는다면 쉽게 이해 될 것 같아서 식물용어를 해설 놓고서 이해할려고 찾아 봤어요.
이제는 좀 이해가 됩니다.
이제는 좀 이해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