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좀 해 주세요.
종명: 패랭이우산이끼
작성일 12-03-21 18:19
조회 808
댓글 4
본문
Canon EOS 5D, F11.0, ISO-800, 1/4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2:03:21 11:23:38
Canon EOS 5D, F11.0, ISO-800, 1/1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2:03:21 11:44:04
여직 선태식물(이끼)의 패랭이우산이끼와 애기패랭이우산이끼라고 알고있던 식물체 입니다.
그런데 요즘 지의류에 관심이가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보다보니 이 패랭이우산이끼가 엽상 지의류로 분류되어있는곳이
여러곳 눈에 띄더군요.
이것이 이끼류인지 지의류인지 어느분이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물론 아직 지의류에대한 연구가 미흡한것 같기는 합니다만 많이 궁금하네요.
그런데 요즘 지의류에 관심이가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보다보니 이 패랭이우산이끼가 엽상 지의류로 분류되어있는곳이
여러곳 눈에 띄더군요.
이것이 이끼류인지 지의류인지 어느분이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물론 아직 지의류에대한 연구가 미흡한것 같기는 합니다만 많이 궁금하네요.
댓글목록 4
삿갓우산이끼가 아닐까 보입니다. 패랭이우산이끼는 잎에 돌기구멍이 없고 이것은 있군요.
삿갓우산이끼라면 우산이끼목 삿갓우산이끼과 삿갓우산이끼속 입니다.
위엣것과 아랫것이 조금 달라 보이는데 윗쪽이 패랭이우산이끼로 보이는데
패랭이우산이끼는 선태식물 우산이끼목 우산이끼과 우산이끼속 으로 분류 된답니다. 질문하신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의 복합채인 녹조식물의 총칭 이지만
이끼류와는 4촌 또는6촌 쯤으로 보시면 될듯 하네요 지의류는 바위에 버즘처럼 둥글게 번진 회색의 그림같은것이 지의류의 대표적인것 입니다.
삿갓우산이끼라면 우산이끼목 삿갓우산이끼과 삿갓우산이끼속 입니다.
위엣것과 아랫것이 조금 달라 보이는데 윗쪽이 패랭이우산이끼로 보이는데
패랭이우산이끼는 선태식물 우산이끼목 우산이끼과 우산이끼속 으로 분류 된답니다. 질문하신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의 복합채인 녹조식물의 총칭 이지만
이끼류와는 4촌 또는6촌 쯤으로 보시면 될듯 하네요 지의류는 바위에 버즘처럼 둥글게 번진 회색의 그림같은것이 지의류의 대표적인것 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저도 알고있습니다만 지의류를 연구하는 몇곳에 이 패랭이우산이끼가 지의류로 분류되어 있더군요.
밑줄 설명하신 형태의 지의류를 고착상지의류, 석이나 흔히 꼬마요정컵지의 같은 형태를 엽상지의류, 영국병정지의라고 부르는것처럼 돌출되어 봉의 형태로
자라는것은 수지상지의류라고 부르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패랭이우산이끼 종류들이 엽상지의류로 분류되어 있어서 질문드린겁니다.
밑줄 설명하신 형태의 지의류를 고착상지의류, 석이나 흔히 꼬마요정컵지의 같은 형태를 엽상지의류, 영국병정지의라고 부르는것처럼 돌출되어 봉의 형태로
자라는것은 수지상지의류라고 부르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패랭이우산이끼 종류들이 엽상지의류로 분류되어 있어서 질문드린겁니다.
말씀처럼 지의류가 아닌 선태식물로 분류되어야 합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래는 우산이끼의 gemma cup(무성아기)으로 보여지고요. 패랭이우산이끼(=뱀이끼)는 엽상체에 gemma cup이 없고, 아기패랭이우산이끼는 엽상체 가장자리에 작은 무성아가 발달된다고 합니다. 위는 삿갓우산이끼인지 패랭이우산이끼인지 자기탁을 보았으면 합니다만....
아래는 우산이끼의 gemma cup(무성아기)으로 보여지고요. 패랭이우산이끼(=뱀이끼)는 엽상체에 gemma cup이 없고, 아기패랭이우산이끼는 엽상체 가장자리에 작은 무성아가 발달된다고 합니다. 위는 삿갓우산이끼인지 패랭이우산이끼인지 자기탁을 보았으면 합니다만....
역시 지의류로 분류되었던것은 뭔가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그곳은 그곳대로 뭔가 이유가 있겠지만......
지의류와 선태식물의 판단 경계가 모호한지라 저로서는............
관심있게 보아주신 이초님, 아까시님 감사합니다.
종명은 걍 패랭이우산이끼로 하겠습니다. 판단도 모호하고 두가지를 다 쓸수도 없고........
지의류와 선태식물의 판단 경계가 모호한지라 저로서는............
관심있게 보아주신 이초님, 아까시님 감사합니다.
종명은 걍 패랭이우산이끼로 하겠습니다. 판단도 모호하고 두가지를 다 쓸수도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