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나무인가요?
종명: 가시나무
작성일 12-03-09 22:47
조회 442
댓글 9
본문
Canon EOS 40D, F3.5, ISO-640, 1/4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2:01:13 13:06:05
Canon EOS 40D, F3.5, ISO-640, 1/2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2:01:13 13:06:08
완도수목원에서 찍은 것입니다 이름이 뭔가요?
댓글목록 9
가시나무 종류로 보입니다.
무슨 가시나무인가요?
붉가시나무로 한번 겸색해보시지요.
붉가시나무는 잎에 거치가 없지 않은가요?
산림과학원 수목도감에 따르면
붉가시나무도 윗 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는 것도 있다고 나와 있고
잎 뒷면이 연녹색인 것 또한 붉가시나무로 보이게 합니다.
붉가시나무도 윗 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는 것도 있다고 나와 있고
잎 뒷면이 연녹색인 것 또한 붉가시나무로 보이게 합니다.
여러날을 기다려도 확실한 동정이 나오지 않아 조심스럽게 의견을 올립니다.
참나무과의 종을 구별 하는게 쉬운일이 아닙니다만
참나무과의 상록활엽수 동정도 마찬가지 입니다.
참나무과 상록활엽수로 붉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 모밀잣밤나무,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참가시나무,졸가시나무등이 우리나라에 자생합니다.
식물은 음지와 양지, 땅의 비옥도 기온등 여러 환경적인 요인에따라 각양각색, 잎의 모양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그런데 위의 식물의 경우 붉가시나무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고, 저는 종가시로 봅니다. -전남 진도에서~-
참나무과의 종을 구별 하는게 쉬운일이 아닙니다만
참나무과의 상록활엽수 동정도 마찬가지 입니다.
참나무과 상록활엽수로 붉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 모밀잣밤나무,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참가시나무,졸가시나무등이 우리나라에 자생합니다.
식물은 음지와 양지, 땅의 비옥도 기온등 여러 환경적인 요인에따라 각양각색, 잎의 모양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그런데 위의 식물의 경우 붉가시나무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고, 저는 종가시로 봅니다. -전남 진도에서~-
위의 사진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원본사진으로 보면 잎의 톱니는 얕으나 거의 잎 밑부분까지 조밀하게 나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톱니가 잎의 2/3 정도 내려오는 것은 참가시나무와 가시나무가 있는데 참가시나무는 잎의 톱니가 날카로워 일단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러나 가시나무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곳이 극히 적어 만나기가 어렵다고 하는군요. 완도수목원에 가시나무가 있다는 이야기도 아직 듣지 못했습니다.
위의 사진은 완도수목원에서 담았다고 기록 하셨고, 마지막 답변에는 완도수목원에는 가시나무종이 없다고 하셨으나 완도수목원 홈피에는
752종의 자생 나무중에 가시나무류가 많다고 설명할 뿐 아니라 가시나무류는 한국의 남부 지방에 다량 서식종으로 번생하고 있습니다.
붉가시나무는 거치가 있는것도있고 없는것도 있습니다 다만 종가시나무처럼 많지는 않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은 완도수목원에 사진과 위치를 알리고 직접 문의 하셔서 알아보시는 것이 정확 하리라 사료됩니다.
752종의 자생 나무중에 가시나무류가 많다고 설명할 뿐 아니라 가시나무류는 한국의 남부 지방에 다량 서식종으로 번생하고 있습니다.
붉가시나무는 거치가 있는것도있고 없는것도 있습니다 다만 종가시나무처럼 많지는 않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은 완도수목원에 사진과 위치를 알리고 직접 문의 하셔서 알아보시는 것이 정확 하리라 사료됩니다.
관심 보여주신 많은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른 곳에도 문의해본 결과 저로서는 잠정적으로 가시나무로 결론 내렸습니다. 공부가 아직 부족하므로 가시나무 종류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이 공부를 해볼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