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호자덩굴

작성일 10-07-01 09:12 | 1,291 | 21 |추천수: 7

본문

Canon EOS 400D DIGITAL, F3.5, ISO-100, 1/500s, 0.00EV, Partial, 18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0:06:23 14:49:17

Canon EOS 400D DIGITAL, F3.5, ISO-100, 1/800s, 0.00EV, Partial, 180mm, Flash not fired, 600 x 900, 2010:06:23 13:34:28

Canon EOS 400D DIGITAL, F3.5, ISO-400, 1/200s, 0.00EV, Partial, 180mm, Flash not fired, 900 x 599, 2009:08:26 14:17:09

Canon EOS 400D DIGITAL, F3.5, ISO-100, 1/800s, 0.00EV, Partial, 180mm, Flash not fired, 900 x 600, 2010:06:23 13:40:46

Canon EOS 400D DIGITAL, F3.5, ISO-100, 1/1250s, 0.00EV, Partial, 180mm, Flash not fired, 900 x 599, 2010:06:23 13:42:11

호자덩굴은 꼭두서니과 호자덩국속의 상록다년초로
전세계에 2종 분포한답니다

동아시아에 1종 우리나라에 1종 인데 우리나라엔 울릉도와 남쪽 섬지역에서 자란다고 하는군요
저는 생각지도 못한곳에서 지난해에 이어 두번 마주했습니다.

이름에 왜 '호자'란  말이 붙었을까 궁금한데 이유 아시는 분 계신가요?

수꽃과 암꽃을 찾아보세요^^

댓글목록 21

신기한 아그 귀경합니다.

'虎刺'군요. 뾰족한 가시가 호랑이를 찌를 것 같아 붙은 이름이라고 하네요.
머리가 갈라진 것들이 주로 암술 아닌가요?
답글
아하~그런 뜻이었군요
그런데 호랑이를 찌를만큼 위협적인 가시를 보지 못햇다는...ㅡㅡ;

수꽃과 암꽃이 따로라는 도감의 설명은 없지만 일본의 모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꽃은 사진 맨 위쪽의 것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암꽃이네요^^
답글
야인님 설명을 듣고 곰곰히 생각해보니 '호자나무'를 말씀하신듯 합니다
호자나무는 호자덩굴과 같이 꼭두선이과지만 초본으로서 관목식물인 호자나무와는 다르답니다
비슷한 수정목도 있는데 수정목도 상록활엽관목으로 호자덩굴과는 구별되더군요
호자덩굴,호자나무,수정목이 꽃이 비슷비슷하다는걸 야인님 댓글 덕분에 공부하게 됩니다^^
답글
솜털 실루엣 잡기가 워낙 어려워서 조이고 또 조이다 보니 이런 분위기의 사진이 나오고 말았네요
저는 예전 스타일이 더 좋습니다...파스텔톤의 부드러운 느낌요^^
ㅋㅋ 호자나무는 호랑이를 찌를거 같은 가신데 이거는 지도 못봤는데..
올핸 못보고 넘어가나... 정말 멋지게 찍으셨네요..
답글
회오리님께서는 호자나무를 보셨는가 봅니다~보여주세요!^^
호자나무의 가시가 무시무시하다고 하던데 호자덩굴의 꽃이 호자나무의 꽃과 비슷한데서 '호자덩굴'이란 이름을 붙인게 아닌가 하는 저의 추측입니다
답글
건 모르겠구요...줄기끝에 꼭 두개가 같이 피는데 암꽃은 암꽃대로 수꽃은 수꽃대로 따로 달리더군요^^
답글
무신 말씀을 ...그럼 연하님 사진에 푹 빠져 있는 저도 앞으론 사진 올리지 말아야겠네요~
연하님표 호자덩굴 빨리 보고 싶어요^^
햐~~~~~! 귀엽고 예쁘고 .  호자나무고 호자덩굴이고 전 몾봤지만 너무 예쁜 모습과 사진에 반합니다. 꾸~욱 눌러나 드리지요.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63,84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