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통발
작성일 08-07-23 09:05
조회 556
댓글 11
추천수: 2
본문
Canon EOS-1Ds Mark III, F11.0, ISO-100, Auto WB, Manual Exposure, 1/160s, 0.00EV, 180mm, Flash not fired, 600 x 900, 2008:07:22 16:26:31
Canon EOS-1Ds Mark III, F8.0, ISO-100, Auto WB, Manual Exposure, 1/640s, 0.00EV, 180mm, Flash not fired, 600 x 900, 2008:07:22 16:16:49
이제까지 알던 통발은 추천명이 참통발이고, 통발은 강원도 어드메에만 있다는데...
동정포인트는 저도 모릅니다.
빛이 강해 물반사도 엄청나게 강하군요.
약간 구름이 낀 날 다시한번 찍어 봐야겠습니다.
집앞에 있으니까...^^
동정포인트는 저도 모릅니다.
빛이 강해 물반사도 엄청나게 강하군요.
약간 구름이 낀 날 다시한번 찍어 봐야겠습니다.
집앞에 있으니까...^^
댓글목록 11
어~ 지난 번 올린 녀석도 참통발인가 보네^^
고치러 가야지 ㅋ~
어느 블로그에서 찾아 아래와 같이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식물분류학회 학회지에 실린 논문에 지금까지 국내에서 통발로 알려진 통발속 분류군은 참통발(Utricularia tenuicaulis)의 오동정으로 파악되었으며, 통발(Utricularia japonica)은 강원도 **호에서만 그 분포가 확인됨.
눈문에 따르면 통발은 참통발에 비해 화경이 줄기 보다 좁으며, 잎의 배열이 다소 빽빽하고, 잎의 형태가 약간 타원형 구조를 하고 있고,.
참통발의 경우 줄기의 폭이 화경의 폭보다 작은 반면, 통발의 경우 화경이 줄기보다 좁으며, 줄기는 두꺼운 특징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잎의 배열이 통발의 경우 다소 빽빽하나 참통발의 경우 느슨한 배열을 하고 있다.
잎의 전반적인 형태도 참통발의 경우 약간 난형을 띤 반면, 통발의 경우에는 약간 타원형 구조를 하고 있어 구분 가능하다고 함.
통발의 경우 화경중심부가 비어있으니 참통발의 경우 화경의 중심부가 차 있음
고치러 가야지 ㅋ~
어느 블로그에서 찾아 아래와 같이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식물분류학회 학회지에 실린 논문에 지금까지 국내에서 통발로 알려진 통발속 분류군은 참통발(Utricularia tenuicaulis)의 오동정으로 파악되었으며, 통발(Utricularia japonica)은 강원도 **호에서만 그 분포가 확인됨.
눈문에 따르면 통발은 참통발에 비해 화경이 줄기 보다 좁으며, 잎의 배열이 다소 빽빽하고, 잎의 형태가 약간 타원형 구조를 하고 있고,.
참통발의 경우 줄기의 폭이 화경의 폭보다 작은 반면, 통발의 경우 화경이 줄기보다 좁으며, 줄기는 두꺼운 특징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잎의 배열이 통발의 경우 다소 빽빽하나 참통발의 경우 느슨한 배열을 하고 있다.
잎의 전반적인 형태도 참통발의 경우 약간 난형을 띤 반면, 통발의 경우에는 약간 타원형 구조를 하고 있어 구분 가능하다고 함.
통발의 경우 화경중심부가 비어있으니 참통발의 경우 화경의 중심부가 차 있음
통발을 보면, 그때 하고지비님 댓글 읽으러 다시
와야 겠습니다.^^
와야 겠습니다.^^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어찌 담으셨나도 궁금하고요...
어찌 담으셨나도 궁금하고요...
통발구경 시켜주세요
저도요 !!
서산으로 오세요...
흰망태랑 세트로 보여드립니다.
흰망태랑 세트로 보여드립니다.
토담님의 넓으신 맘씨가 존경스럽습니다.
캬~~~
예술...
예술...
저렇게 꽃을 피우는 녀석도 있었군나! 흠~
실잠자리가 자리를 뜰 생각을 않고 있네.
실잠자리가 자리를 뜰 생각을 않고 있네.
울 동네 전국 유일하게 들통발이 살고 있었는데..신설도로밑에 깔렸네여..흐흑...
먄해..들통발아...
먄해..들통발아...
겁나게 이뻐부네요잉! 잘보고 갑니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