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치마
작성일 08-04-30 21:40
조회 1,043
댓글 8
추천수: 0
본문
NIKON D200, F4.5, ISO-160, Auto WB, Auto Exposure, 1/80s, -0.33EV, Multi-segment, 105mm, 1/1, Flash not fired, 600 x 896, 2008:03:30 15:36:01
NIKON D200, F4.0, ISO-160, Auto WB, Auto Exposure, 1/60s, -0.33EV, Multi-segment, 105mm, 1/1, Flash not fired, 600 x 896, 2008:03:30 15:36:47
이거도 숙은~이 맞지요?
그런데
정확한 동정 포인트는 모르겠어요.
작은호수님~~
갈차주실래요?
그런데
정확한 동정 포인트는 모르겠어요.
작은호수님~~
갈차주실래요?
댓글목록 8
저도 동정포인트는 모르고, 작은호수님도 아니지만, 숙은~은 아닌것 같군요...ㅎㅎ
아는 척 하려고 도감을 뒤져봤는데, 이창복도감엔 숙은처녀치마란 이름도 없군요...ㅠㅠ
아는 척 하려고 도감을 뒤져봤는데, 이창복도감엔 숙은처녀치마란 이름도 없군요...ㅠㅠ
저도 지금 사진을 담아와 놓고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걍 처녀치마 겠지요,,환경에 따른 차이일뿐
숙은처녀치마
높은 산에 나며, 처녀치마와 닮았으나
잎이 둥긴(???) 피침형이고 잎 가장자리가 민둣하며,
화피가...(중략)... 밑둥이 볼록 솟아 통 모양이며, 아래를 향해 퍼짐.
개화기 4~5월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옮김)
통통배님이 담으신 사진을 보면 잎 가장자리에 톱니모양의 결각이 있지만
작은호수님이 담으신 사진은 잎 가장자리가 매끈한게 큰 통정 포인트 인것 같으네요
통통배님이 담으신 사진은 걍 처녀치마로 보임니다
높은 산에 나며, 처녀치마와 닮았으나
잎이 둥긴(???) 피침형이고 잎 가장자리가 민둣하며,
화피가...(중략)... 밑둥이 볼록 솟아 통 모양이며, 아래를 향해 퍼짐.
개화기 4~5월 (이영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옮김)
통통배님이 담으신 사진을 보면 잎 가장자리에 톱니모양의 결각이 있지만
작은호수님이 담으신 사진은 잎 가장자리가 매끈한게 큰 통정 포인트 인것 같으네요
통통배님이 담으신 사진은 걍 처녀치마로 보임니다
"숙은" 이 말은 무슨 뜻이온지요? 식물 이름 앞에 붙은 이 말의 정체를 좀 가르쳐 주십시오..
제가 꽃대는 없지만, 잎이 일반 처녀치마에 반도 안되는 것을 보았는데...
그것도 한번 담아 와야 겠습니다.^^
그것도 한번 담아 와야 겠습니다.^^
어렵습니다. 뭐가 뭔지....
이 아이는 걍 처녀치마 인거 같습니다..
숙은처녀치마와 카작은처녀치마도 있다던데...처녀치마도 종이 날로 느는군요ㅎㅎ
숙은처녀치마와 카작은처녀치마도 있다던데...처녀치마도 종이 날로 느는군요ㅎㅎ
이름을 처녀치마로 고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