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좀구슬붕이

작성일 13-06-18 06:33 | 733 | 13 |추천수: 1

본문

Canon EOS 20D, F11.0,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20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3:06:16 13:26:27

Canon EOS 20D, F11.0,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125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3:06:16 13:28:20

Canon EOS 20D, F11.0,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16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3:06:16 13:30:11

Canon EOS 20D, F11.0,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16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3:06:16 13:30:58

Canon EOS 20D, F11.0, ISO-100, Auto WB, Auto Exposure, 1/160s, 0.00EV, 100mm, Flash not fired, 800 x 533, 2013:06:16 13:59:40


좀 : 키가 작거나 꽃이 작은 데서 유래된 이름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좀구슬붕이란 제목을 붙였습니다.

큰구슬붕이만 제외하고 보면 구슬붕이, 봄구슬붕이,좀구슬붕이란 이름이 난무하듯 하지만
막상 좀구슬붕이에 관한 좀 더 정확한 자료는 없을까 하면서 이곳 저곳 검색을 해봐도
꼭 이것이다 하는곳을 찾지는 못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출처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이라 표기한
어느 블로그의 내용을 참고해 봅니다.

이명: 좀구슬봉이
학명: Gentiana squarrosa var. microphylla Nakai
용담과 용담속의 두해살이 풀

높이는 2-10cm 정도이고 밑에서 갈라져 총생하며 잔돌기가 있다.
밑부분에 윤상으로 달린 몇 개의 잎은 선형이고 구슬붕이에 비해 작으며
가장자리가 두꺼워져 투명질로 되고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밑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엽초로 된다.
삭과는 긴 대가 있고 화관밖으로 나오며 2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방추형으로서 다소 평활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짧은 화경이 있고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길이 4-6mm이고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가시같으며 통부 길이의 1/2정도이다.
화관통은 길이 12-15mm로서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열편사이에 있는 부편은
열편보다 다소 작으며 때로는 2개로 갈라진다.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이름의 유래
구슬붕이보다 개체가 작다고 하여 '좀구슬붕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속명 Gentiana는 용담속 식물의 약효 발견자 Pliny가 붙인 이름으로 
Illyria 의 왕 Gentius(B.C.500경)의 이름을 차용하여 사용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종소명 squarrosa는 '도드라진 돌기가 있어 표면이 평탄하지 않다'는 뜻이며,
microphylla는 '작은 잎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댓글목록 13

답글
올해는 토요일은 불확실성 일요일은 확정 공휴일 아침 일찍 김밥 사들고 소득없이 늘 나돌아 다녀야
내가 살아 있다는 현실을 깨닫습니다. ㅎㅎㅎ ~
그러다 보니 즐겨찾기 코스로 두달 사이 무려 다섯차례 집중 탐방 계획 수행 중입니다.
답글
전 가까이 들이대서 큼직하게 시원시원 스런걸 좋아하는 습성 때문에 꽃이 크게 보일뿐
자자부리하게 온 천지를 뒤덮고 있는 모습에 어느것을 모델로 삼을지 밟고 다닐뻔 했습니다.
꽃이 너무 작았습니다.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18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