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야생화

두메고들빼기

작성일 17-07-26 23:25 | 1,537 | 8 |추천수: 1

본문

Canon EOS 7D Mark II, F3.2, ISO-320, Auto WB, Auto Exposure, 1/125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17:07:22 11:29:39

Canon EOS 7D Mark II, F3.5, ISO-320, Auto WB, Auto Exposure, 1/125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17:07:22 11:39:00

Canon EOS 7D Mark II, F3.2, ISO-320, Auto WB, Auto Exposure, 1/6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17:07:22 11:21:40

Canon EOS 7D Mark II, F2.8, ISO-320, Auto WB, Auto Exposure, 1/10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17:07:22 11:50:07

Canon EOS 7D Mark II, F3.2, ISO-320, Auto WB, Auto Exposure, 1/50s, 0.00EV, Spot, 100mm, Flash not fired, 1024 x 683, 2017:07:22 11:26:37


두메고들빼기 / 학명: Lactuca triangulat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밑부분의 잎은 일찍 쓰러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고 예두로서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치아상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얕은 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일부분이 둥근 심장형으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엽병에 날개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엽병이 원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에 큰 원뿔모양꽃차례가 발달하여 많은 머리모양꽃차례가 달리며
머리모양꽃차례는 15개 정도의 혀꽃으로 구성된다. 총포는 통상종꼴로 길이 0.8-1.1mm, 지름 5-8mm이며
총포조각은 2-3층으로 배열되고 뒷면에 짧은 샘털과 털이 약간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외편은 난상피침형이며
내편은 선상피침형이다.

댓글목록 8

추천하기

야생화 목록

Total 765
게시물 검색